무려 11명의 연예인들을 한 곳에 모아놓고 그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고 재미있게 풀어내겠다는 야심찬 계획으로 시작한 <룸메이트>는 시청률에서도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지만 사실은 그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바로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연예인들의 캐릭터가 뚜렷하지도 않을뿐더러 뚜렷한 캐릭터들은 점점 비호감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의도나 목적이 뚜렷하지 않고 모호해 시청자들이 재미를 느끼기 힘든 가운데 출연진마저 역풍을 맞은 것이다.

 

 

 

서강준은 잘생긴 외모로 데뷔 초반부터 드라마에서 주요 역할을 떠맡으며 대세로 떠 올랐다. 그런 그 답게 룸메이트에서도 거의 매회 스포트라이트의 중심에 있었다. 아무리 방송은 연출의 마술이고 진솔한 리얼버라이어티를 표방해도 대본은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리얼버라이어티에서는 인물의 실제 성격이 어느 정도는 반영될 수밖에 없다. 그런 까닭에 리얼버라이어티에 출연하는 인물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어떤 방향으로 잡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서강준은 지적 수준을 의심케 하는 발언을 한다거나 잘생긴 외모 말고는 특별한 예능감을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오히려 부드럽고 훈훈한 이미지를 훼손했다.

 

 

 

그래도 서강준은 자신의 얼굴을 조금이라도 더 노출하며 관심의 중심에 섰기에 상황이 낫다. 그보다 더 큰 질타를 받은 것은 바로 에프터스쿨과 오렌지캬라멜에 속해있는 나나다. 나나는 방송이 시작된 후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자들의 곱지 않은 시선을 감당해야 했다. 그리하여 나나는 마침내 방송에서 그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나나는 “나도 낯을 가리지만 위기를 띄우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그 모습이 시청자들에게 적응이 안되는 모양이다. 좀 더 예능적으로 봐주면 좋겠는데, 그렇게 안 보더라. ‘노력하고 있구나’라기 보단, ‘쟤 왜 귀여운척 해?’라는 안 좋은 반응들이 너무 많다.” 며 “신경 안쓰고 실제 모습으로 할 수도 있지만 사람인지라 겁이 난다. 내 모습을 숨겨야 하는가 싶다.”며 고민을 토로했다. 방송이후 쏟아진 수많은 악플에 대한 심경이었다.

 

 

 

 

그러나 나나의 이런 발언은 적절하지 못했다. 나나의 발언은 마치 자신이 여성이기 때문에 노력하는 모습이 남성을 유혹하는 모습으로 비춰지고 그 때문에 여성들의 질투를 유발했다는 뉘앙스에 가까웠다. 그러나 시청자들이 나나에 대해 비판하는 부분은 단순히 그런 부분 때문만은 아니다.

 

 

 

예능에서 예쁜 외모는 오히려 강점이다. 이효리나 송지효등이 스스로 망가지며 자신을 드러낸 까닭에 그들에 대한 호감도는 오히려 증가했다. 최근 <무한도전>에 출연한 손예진같은 경우만 보더라도 화제는 되었을 지언정 손예진이라는 인물에 대한 비판은 없었다. 같은 오렌지 캬라멜 출신인 리지 역시 <무한도전>에 출연했지만 누구도 그에 대한 비난을 거세게 쏟아내지 않았다.

 

 

 

예능에서 예쁜 여배우나 가수가 자신을 드러내며 예능감을 뽐내는 것은 오히려 신선하고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나나가 간과한 부분은 그 스스로 ‘예능감’이라고 부르는 행동 자체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첫째로 나나의 사람을 대하는 태도다. 나나는 친해지기 위해 사람들에게 다가갔다고 하지만 나나의 방식은 같은 프로그램 내에서 박봄이 택한 방식과는 그 노선이 다르다. 박봄은 특유의 사차원적인 성격으로 모두에게 자신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지만 나나의 경우는 사람에 따라 그 태도가 확연히 달라진다. 예를 들자면 외모가 출중한 남성 출연진들에게는 상냥하고 싹싹한 모습을 보이지만 조세호같은 코미디언 출신 출연진에게는 별다른 애교나 친절함 없이 “나는 오빠랑 둘이 (곱창집에) 가기 싫으니 잘생긴 남자 데리고 오라.”는 식의 스스럼없지만 다소 공격적인 농담을 던진다. 누구에게나 친절한 것이 아니라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태도는 결코 ‘친해지기 위한’ 포석으로 보기 어렵다. 더군다나 나나는 자신보다 나이가 아주 많은 사람들에게도 스스럼없는 말투를 사용한다. 물론 <룸메이트>는 기본적으로 가족 구성원을 모티브로 한다. 출연진들 역시 편하게 행동하라며 나나의 반말을 허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반말을 사용한다는 것이 예의가 없는 것과 동음이의어는 될 수 없다. 나나의 말투와 행동은 반말을 사용하더라도 연장자에 대한 존중의 마음을 담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나나의 말투와 행동은 연장자에게 있어서도 친구에게 대하는 그것과 별 다를 것이 없다. 이부분에서 많은 시청자들은 불편함을 느낀다. 아무리 장난이라도 박봄이 싫어하는데도 머리를 건드리거나 ‘못생겼다’라는 농담을 던지는 등의 행동은 결코 바람직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지난주 방송분에서는 이런 나나의 불편한 행동이 정점을 찍었다. 사이드 브레이크를 내린채 운전하는 위험천만한 행동을 한 것은 초보자의 실수로 넘어갈 수 있지만 그 일에 대한 대처는 결코 나나에 대한 이미지를 호감으로 전환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나나는 자신의 실수로 카센타에 들렀음에도 실수에 대한 설명은 제대로 숙지하지 않고 휴대폰 통화에만 열중했다. 더군다나 종국에는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옆에 타고있던 송가연에게 미안함을 표현하는 대신 “(사이드 브레이크가) 왜 내려가 있어?”라는 다소 황당한 물음으로 상황을 정리했다. 실제로 상황이 어떻고 그들간의 관계가 어떤지는 알 수 없으나 TV를 시청하는 입장에서는 나나의 행동에 박수를 보내기는 어렵다.

 

 

 

아무리 어느 정도의 연출과 설정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연출과 대본의 탓으로 돌릴 수 없는 일이다. 마치 나나가 ‘민폐’를 끼치는 것처럼 묘사된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대본이 있더라도 상황 설정과 맥락을 준 후 그들에게 자신의 캐릭터를 연기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리얼버라이어티의 기본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자신의 실제 모습을 어느 정도 캐릭터에 투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나나는 이 지점에서 완전히 노선을 잘못 탔다. 그런 자신의 잘못된 방향은 무시한 채, “나는 노력했는데 다른 사람들은 예능으로 안보고 나를 오해한다”라는 식의 해명은 오히려 논란에 불씨를 지피는 것이다.

 

 

 

다른 여자 출연자들도 있는 와중에 나나의 행동만 특별히 대중의 지탄을 받았다는 것은 나나의 행동에 대한 문제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자신의 본 모습을 보여주려 한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그래서 위험하다. 그게 나나의 본모습이라면 시청자들에게 있어서 나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일은 더욱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차라리 “내 모습을 돌아보게 됐다. 나의 행동에 문제점이 있었음을 인정한다. 그런 의도가 아니었는데 나도 좀 신중해져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도 아직 많이 부족한가 보다. 앞으로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식의 발언이었다면 훨씬 더 부드럽게 들렸을 것이었다. 시청자들의 날선 시선에 직면하는 것이 리얼버라이어티에 출연하는 출연진들의 숙명이다. 그들이 그 날선 시선을 뚫고 자신의 매력을 보여줄 때에야 시청자들은 그들에게 열광한다. 그러나 <룸메이트>는 불팽히도 출연진들이 그런 매력을 보여주기 적합한 프로그램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그 속에 있는 출연진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지 능력이 없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