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메이트>가 시청률 저조와 시청자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괜찮아 룸메이트>로 제목을 바꾸고 시즌2를 확정지었다. 룸메이트의 제작진은 “앞서 시즌1은 낯선 사람들이 한 집에 모여 어떻게 사느냐를 중점으로 방송했다. 시즌2는 시즌1보다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콤플렉스나 아픔이 있는 사람들이 그 과정을 어떻게 극복하느냐를 보여드리고자 한다"며 "특히 아픔을 가진 이들이 룸메이트를 통해 어떤 영향을 받아 어떻게 변화할지, 또 어떻게 성장하는지가 보일 것이다"라며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시즌2의 콘셉트가 약간은 바뀔 것이라는 설명을 했다.
그러나 이는 룸메이트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발언이다. <룸메이트>의 근본적인 문제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리얼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룸메이트>에 출연하는 출연진들은 연출된 공간에 머물게 된다. 그 안에서 그들의 성격이 제대로 표현되느냐가 관건인데 단순히 같이 산다는 설정만으로는 그들의 캐릭터를 제대로 보여주기는 힘들다. ‘같이 산다’라는 콘셉트를 제외하고는 뚜렷한 콘셉트가 없는 탓에 그들은 우왕좌왕하고 설정된 공간 안에서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지도 못한다. 때때로 갈등상황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재미요소라기 보다는 오히려 출연자들을 비호감으로 만드는 역할을 했다.
<무한도전>처럼 다양한 미션이나 상황이 주어지는 것도 아니고 <나 혼자 산다>처럼 실제 집에서 촬영을 하는 것도 아니다. 그들은 연출된 공간에서 연출된 행동만을 하고 리얼리티는 사라지고 그들에 대한 호기심마저 없어진다.
본질적으로 망가지기 힘든 가수나 배우들을 가지고 관찰 예능을 만들었을 때는 그들에게서 리얼한 모습을 연출할만한 상황이 주어져야 했다. 그들의 생얼이 드러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호감도에 집중해 캐릭터를 구성하고 그 다양한 캐릭터들로 시청자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어야 <룸메이트>의 회생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같은 공간에 연예인들이 산다고 해서 그들이 서로에게 진심으로 기대고 서로에게 큰 영향을 받아 변화를 경험할 것이라는 기대는 너무 지나치다.
그들이 진정으로 친해질 수 있는 콘셉트, 예를 들면 <꽃보다> 시리즈처럼 여행이라든지 <진짜 사나이>처럼 군대라든지 하는 어려운 상황이 존재하고 그 상황을 극복해 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편이 낫다. 그러나 <룸메이트> 속 출연진들은 언제나 가면을 쓴 채, 서로에게 가식적인 모습만 보인다. 그들이 진심이 되어 가는 과정 따위는 찾아 볼 수 없다. 단순히 계약 때문에 시간을 때우기 위해 그 곳에 모인 그들의 모습 속에서 시청자들은 재미 대신 지루함을 맛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사가 <룸메이트>를 포기하지 않는 이유가 있다. 일단 <K팝 스타>가 시작할 때 까지 특별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할 여력을 아낄 수 있다. <룸메이트>가 비록 시청자들에게 질타를 받지만 새로운 판을 짜는데 드는 시간과 힘을 소비하는 데 드는 비용과 수고를 아낄 수 있다. 단순히 시간을 때우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로는 <룸메이트>가 쓸만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한 <룸메이트>의 시즌2가 결정된 것은 낮은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제작비가 충당된다는 이야기다. 방송은 투자로 이뤄진다. 프로그램 인기에 힘입은 광고 투자 뿐 아니라 소속 연예인을 띄우기 위해 소속사나 소속사의 자회사, 혹은 연예인의 광고주 스폰서등이 직접적인 제작 참여는 아니더라도 투자 형식을 빌려 제작비를 대는 경우도 생겨난다. <룸메이트>의 경우, 열 한 명이나 되는 출연진들의 출처 역시 모두 순수한 인기나 호감도에서 비롯된 것이기 보다는 보이지 않는 알력으로 출연하게 되었을 가능성 역시 부정할 수 없다. 그것은 프로그램을 쉽게 포기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다. 손쉽게 많은 인물들을 출연시킬 수 있는 구조로 여기 저기서 투자를 받기도 쉬워진다. 굳이 이런 콘텐츠를 포기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이돌을 출연시켜 해외 판매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엑소나 오렌지 캬라멜등 아이돌 가수들은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있고 상대적으로 그런 인물들이 출연하는 예능은 해외에서 관심도 선점에 유리하다. 그런 까닭에 해외에 포맷을 판매한다거나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등을 통해 해외에서의 수익을 노릴 수 있다.
이런 조건들을 포기할 필요가 없는 방송사가 <룸메이트>의 시즌2 제작을 결정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호응이 없고 시청률도 낮은 프로그램을 억지로 밀어붙이는 것은 시청자를 기만하는 행위다. 좀 더 새로운 아이디어와 구성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다면 <룸메이트>는 결국 성공작이라 불릴 수는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