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구정 백야>는 임성한 작가의 작품답지 않게 초반에는 저조한 시청률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듯 했다. 그러나 이제 <압구정 백야>는 14%를 돌파하며 15%를 향해 가고 있다. 아직 임성한 드라마의 시청률 치고는 시청률이 호쾌하게 좋지는 못하지만 착실히 시청률 상승곡선을 그리며 20%의 고지를 넘보고 있는 것이다.

 

 

 

이제 65회로 120부작 드라마의 중반에 와있는 시점에서 시청률은 임성한 작가의 역량으로 미루어 볼 때 더 상승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임성한의 권력을 만들어 준 것은 바로 이 ‘시청률’이다. <압구정 백야>만 해도 등장만으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을만한 스타 캐스팅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임성한은 그동안 스타 캐스팅을 비웃기라도 하듯, 신인이나 조연급 연기자를 캐스팅 하여 높은 시청률을 올리고는 했다. 물론 그 시청률을 올리는 방식은 상상을 초월했다. 귀신이 등장하고 ‘암세포도 생명’이라는 뜬금없는 대사를 치는가 하면 갑작스러운 장르변경도 서슴지 않았다.

 

 

 

 

<압구정 백야>만 해도 임작가의 전작 <인어아가씨>와 유사하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아직까지 임성한 작가의 작품 치고는 얌전(?)한 편이지만 언제 또 뒷통수를 후려 칠 반전같은 전개가 등장할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압구정 백야 65회는 임성한의 저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회차라 말하기에 충분하다. 인터폰 화면에 백야(박하나 분)이 등장하면서 시작된 65회는 문을 열어준 백은하(이보희 분)이 백야를 맞으며 본격적인 진행을 이룬다. 이 후 장면 전환은 식사를 하러 향한 부엌, 그리고 회상을 위한 인써트,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기 위한 집 외경 단 세장면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거실에서만 이루어진다. 그리고 등장인물은 단 두명. 백야와 백은하 뿐이다.

 

 

 

그러나 여기서 임성한의 마법은 시작된다. 임성한은 무려 30분이 넘는 한 회차 동안 단 두명의 대화로 극을 진행시키는데 신기하게도 이야기가 전혀 지루하지 않다. 이 드라마를 처음 보는 사람조차도 몰입이 가능한 수준의 내용설명은 물론, 둘 사이의 기싸움과 변화무쌍한 감정을 시청자들이 놓칠 수 없게 만든 것이다.

 

 

 

65화에서는 백야가 백은하에게 자신의 딸임을 밝히게 되는 회차다. 물론 이 조차도 임성한의 전개 방식 속에서 아직 현실인지 상상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 보통 이렇게 감정을 다 쏟아내는 장면이 상상이기 쉽지 않지만 임성한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일말의 불안감은 존재한다. 다만 이 장면이 극중에서 현실이라는 전제하에 이 회차는 앞으로 전개에 터닝 포인트가 되는 중요한 회차다. 그런 회차를 다른 등장인물 없이 두 인물의 대화로만 이끌어 냈는데도 불구, 30분을 1분 같이 쓴 것은 작가의 시청자를 몰입 시키는 능력이 그만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것이라는 사실의 반증이다.

 

 

 

그동안 각종 논란의 중심에 서 있었어도 시청률 만큼은 휘어잡았던 임성한 식 화법이 통한다는 것이 그대로 증명되는 한회였다. 이 회차에서는 단 둘 뿐이지만 많은 일이 일어난다. 백야는 백은하를 도발하여 자신에게 물을 뿌리게 만들고 백야는 참지 않고 물컵을 집어 던져 깨뜨린다. 자신의 따귀를 날리는 백은하에게 ‘치시지!’라는 말로 긴장감을 만들고 자신을 후려치고 씩씩대는 백은하를 향해 ‘청첩장 왜 안 만들었는지 아냐’ 며 ‘신랑 신부 엄마 이름이 같으면 대략 난감아니냐.’며 자신이 백은하의 버려진 딸임을 고백한다.

 

 

 

막장드라마에 등장하는 흔한 장면이지만 순간의 몰입도 만큼은 최절정에 오른다. 그 이유는 임성한 드라마의 전개 방식에 있다. 이런 장면이 등장할 것은 예상된 일이지만 이렇게 빨리 이 장면을 사용할 줄 생각한 시청자는 많지 않았다. 한마디로 기적절한 타이밍에 폭풍 전개였다. 딸임을 고백한 이후에도 거짓으로 일관하며 눈물을 흘리는 백은하에게 백야는 백은하와 죽은 오빠가 했던 대사를 줄줄 읊으며 조소를 날린다. 이 때 적절히 들어가는 회상장면은 백야의 대사와 오버랩되며 몰입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결국 끝까지 이 둘이 오열하는 장면에서 엔딩 컷이 나오지만 시청자들이 느끼는 재미는 65화중 단연 최고였다.

 

 

 

단 둘이 나오는 장면으로 30분을 끌고, 이를 단순히 시간 때우기용 장면이 아니라 확실한 전개를 보여주며 그 안에서 인물간의 긴장감을 조율해 시선을 뗄 수 없게 만드는 것은 과연 능력이었다. 임성한이 시청률을 올릴 타이밍을 잡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싶은 회차였다. 임성한은 확실히 포인트를 알고 있다. 과연 그 포인트를 이 드라마에서도 확실히 사용하여 ‘시청률의 여왕’이라는 타이틀을 다시 한 번 가져갈 수 있을까. 그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는 시점이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