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 프로그램의 한계는 바로 그 패턴과 형식이 반복되면서 대중을 사로잡을만한 인재의 발굴이 점점 어려워진다는데 있다. <K팝 스타>는 그 문제점을 심사위원의 캐릭터와 새로운 기준으로 대체했고 오디션 프로그램의 숨통을 이어가는데 성공했다.

 

 

 

심사위원으로 앉아있는 박진영-양현석-유희열은 각각의 독특한 관점과 논조를 펴고 그것은 때때로 논란이 되지만 각각의 캐릭터를 살리면서 화제성을 높인다. <K팝스타>가 네 번 째 시즌을 이어오는 동안 출연자를 뽑는 기준도 더욱 다양화 되었다. 심사위원들의 독특한 개성만큼이나 개성있는 후보를 발굴하려는 노력은 악동뮤지션같은 신선한 듀오를 발견하게 만드는 성과를 만들기도 했다.

 

 

 

 

<K팝스타 4>에서도 그런 노력은 계속되었다. 자작곡과 독특한 음색을 무기로 들고나온 이진아가 초반부터 주목을 받은 것 또한 ‘기존의 가수와는 다른’ 그 무언가를 찾는 심사위원들의 음악적인 욕심이 한 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진아는 그 후 가장 주목받는 참가자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대중의 평가는 갈렸다. 그의 신선한 목소리는 분명 생경한 것이었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탓에 오히려 너무 과한 칭찬이 독이된다는 분석마저 있었다.

 

 

 

그러나 <K팝스타>에 이진아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사실 오디션 프로그램이 의례히 그렇듯, 우승후보들은 일찍부터 점쳐진다. 그 우승후보들은 심사위원의 평가와 시청자들의 성원이 합일 되었을 때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시즌4에서는 이진아 외에도 정승환, 박윤하라는 신선한 보이스가 등장했다. 그들의 무대가 하나 둘 씩 공개될수록 인터넷 검색창은 뜨겁게 달궈진다. 가장 검색어 순위에 영향력이 있는 참가자는 바로 정승환이다.

 

 

 

정승환이 처음 심사위원들 앞에서 ‘지나간다’를 부르고 난 후 유희열은 ‘정승환이 이적, 성시경 같은 남자 발라드 가수들의 계보를 이을 수있을 것' 이라는 극찬을 쏟아냈다. 그런 칭찬이 설득력이 있는 것은 이후 정승환이 그동안 보여준 무대들에 대한 대중의 신뢰가 증폭되었기 때문이다. 정승환이 부른 ‘사랑에 빠지고 싶다’는 음원차트를 오르내린 것은 물론, 김조한의 원곡도 주목받는 결과를 가지고 왔다. 박윤하와 함께 부른 ‘슬픔속에 그대만을 지워야만 해’역시 그의 감성을 잘 살리는 선곡이었으며 지난 회차에서 부른 김광석의 ‘너무 아픈 사랑은 아니었음은’은 정승환 보컬의 장점을 가장 잘 표현해 낸 곡이 아닐 수 없었다.

 

 

 

김광석의 노래를 제대로 소화하는 가수는 드물다. 가창력이 아닌 그 감성을 제대로 살려서 부르기가 그만큼 까다롭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르는 것이 아니라 폐부를 찌르는 슬픔이나 아픔을 담아내지 못하면 원곡에 비교당하며 실력을 폄훼당하기 일쑤다.

 

 

 

그러나 정승환의 보컬은 자신만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김광석의 노래를 부르는데 어색함이 없었다. 김광석이라는 전설의 곡을 노래하면서도 그 곡에 파묻히지 않은 19살의 감성은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는데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동안 <K팝스타>는 자작곡을 들고 나온 참가자들이 비교 우위에 있었다. 악동뮤지션 이후 자신의 색깔을 뚜렷하게 표현해내는 독특한 자작곡으로 시청자들을 자극시키는 참가자들에 대한 점수가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진아가 그 독특함을 무기로 호평받은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정승환은 자작곡 없이 목소리 하나만으로 심사위원과 시청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괴물 참가자로 남았다. 무엇보다 정승환이 강력한 우승 후보인 것이 바로 시청자들의지지 때문이다. 정승환이 이후 부르게될 이소라의 ‘제발’은 아직 공개전임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검색어 순위를 오르내렸다. 실력을 기반으로 한 캐릭터가 만들어진 것은 <K팝스타>에 호재다. 그리고 그런 가수를 발굴해 냈다는 것이 바로 <K팝스타>의 존재 이유다. 음색만으로 자신의 존재감을 어필하는 스타로, 이하이를 잇는 가능성이 그에게는 존재한다.

 

 

 

이미 이진아-정승환-박윤하의 삼파전은 굳어졌다. 웬만해서 이 구도는 깨지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그 중 가장 시청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정승환이 이 구도에서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다. 유희열의 칭찬대로 이적과 성시경을 잇는 감성 보컬리스트로 그가 성장하게 되길 기대하게 되는 이유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