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학교’ 시리즈는 1999년 처음 방영될 당시부터 학교의 현실을 반영한 스토리로 큰 호응을 얻었다. 고등학생들의 이야기지만 성인에게까지 폭넓은 인기를 얻으며 성공을 거둔 <학교>는 이후 시리즈 물로 만들어졌다. 학교 2, 3, 4를 거쳐 2013년에는 <학교 2013>이 방영되었다.
<학교 2013>은 장나라와 최다니엘이 교사 역할로 출연하고 이종석과 김우빈이 학생 역할을 맡으며 호연을 보여주었다. <학교 2013>은 학교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며 일진, 성적, 치맛바람, 계약직 교사의 현실까지 학교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들을 묘사하여 공감대 형성에 성공했다. 학교의 문제점은 물론, 학생들의 우정을 다루고 고개가 끄덕여지는 대사까지, <학교 2013>은 수작이라는 평가를 듣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후아유-학교 2015(이하 <후아유>)>가 방영이 되었다. 아역배우로 시작하여 확실히 자신의 영역을 하나하나 밟아가고 있는 김소현부터 남주혁, 육성재등 주목받는 신예들이 모두 출연한 <후아유>는 첫 회부터 ‘왕따’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시선몰이를 계획했다.
‘학교’시리즈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패턴이 바로 이 왕따를 당한다는 설정이다. 주인공 이은비(김소현)은 학교 폭력의 피해자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밀가루를 맞고 생일 케이크 취급을 당한다는 설정이 과했다. 물론 왕따는 어떤 형태로든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왕따는 그 모습이 더욱 교묘해지고 음지로 흘렀다. 불량학생들도 학교에서 대놓고 티가 날 수 있는 행위를 하기 보다 뒤에서 몰래 이루어지는 괴롭힘이 성행하고 있다.
물론 대놓고 왕따를 시키는 경우가 아예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설정이 너무 진부한 것을 뛰어넘어 스토리상의 연결도 자연스럽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렇게 대놓고 밀가루까지 맞는다는 설정 속에서 주인공이 학교 폭력의 누명까지 뒤집어쓴다는 스토리로 이어지는 부분은 어색했다. 더군다나 주인공 역할을 맡은 김소현의 외모 정도 되는 인물이 학교의 ‘얼짱’ 쯤으로 취급 받는 것이 아니라 이런 괴롭힘의 대상이 된다는 설정 역시 현실감이 떨어졌다.
왕따에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고, 단지 ‘예뻐서’ 당하는 왕따 역시 존재할 수는 있다지만 학생들의 심리가 그런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일반적이지는 않다. 그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을 공감가게 만드는 것에는 드라마 상의 장치가 필요하다. 왕따를 시키는 이유가 합리적이지는 않을 수 있지만 그 계기 정도는 충분히 설명되는 편이 드라마에서는 훨씬 더 자연스럽다. 그러나 밑도 끝도 없이 당하는 왕따는 자극적인 장면 이외의 의미를 갖지 못했다. <후아유>는 자극적인 장면을 넣어서 왕따 주동자들에 대한 분노를 일으키는데는 성공했지만 장면 장면들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는 실패했다.
더군다나 아직 첫회긴 하지만 이야기가 너무 중구난방에 뒤죽박죽인 점도 문제점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김소현은 왕따 소녀인 이은비와 서울에서 수학여행을 온 고은별 1인 2역을 했다. 첫회에 이은비는 기억상실증에 걸려 고은별을 대신하여 서울로 향했고 고은별은 의문의 남자에게 피습을 당한다는 설정이 흘러 나왔다.
흐
학교 시리즈에서 1인 2역이라는 설정이 등장한 것은 물론 일반적인 일은 아니지만 이 설정이 드라마적 흥미를 자아냈느냐 하는 점은 의문이다. 갑자기 튀는 이야기는 오히려 집중을 어렵게 했고 1인 2역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탓에 내용 역시 한 번에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그렇다면 무언가 특별한 느낌을 자아내는 드라마의 특색이 있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었다. ‘학교 2015’를 부제로 사용한 것이 무색할 정도로 학교의 현실감도 떨어졌고, 이야기 구조도 ‘학교’보다는 <드림하이>나 <꽃보다 남자>등에 가까웠다.
이럴 거면 굳이 학교라는 타이틀을 굳이 가져다 쓸 필요가 없었다. 단순히 흥미를 끌기 위한 설정들을 몰아 넣는다 해서 드라마가 흥미로워 지는 것은 아니다. 시청자들이 고개를 끄덕일만한 공감대가 학교 시리즈에서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그러나 <후아유>는 그 지점에서 성공했다 보기 어렵다. 이제 1회가 방영되었을 뿐이지만 이런 식이라면 이후의 스토리 역시 확실한 공감대를 형성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첫 회 시청률은 3.8%에 그치고 말았다. <후아유>가 첫회의 어수선함을 깨고 성공할 수 있을까. 학교라는 이름의 아성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