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사나이>는 군대라는 특별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기 때문에 다른 예능과는 조금 다른 특별한 노선을 취할 수 있었다. 다소 강압적이고 절제된 군대의 환경에서의 예능감은 일반적인 예능에서의 예능감과는 달랐던 것이었다. 군대라는 환경은 쉽게 웃음을 보일수도 없고 과장된 행동을 하기도 힘들다. 그래서 <진짜사나이>에서 탄생한 스타들은 일반적인 예능공식에 능한 예능인들이 아니었다. 군대라는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한 고군분투를 보여주거나 뛰어난 먹성, 혹은 의외의 애교를 보여준 캐릭터들이 인기를 얻었다. 박형식, 혜리 등은 <진짜 사나이>를 통해 주가가 단숨에 상승한 케이스였다. 군대를 잘 알고 있는 연예인들 보다는 군대라는 환경을 경험해 보지 못해 제식동작을 틀리거나 용어를 헷갈려 하는 연예인들의 어설픔이 <진짜사나이>의 웃음 포인트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 웃음 포인트는 지속되기 힘든 성질의 것이었다. 연예인들이 군대라는 환경에 적응해 가면 갈수록 웃음은 반감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작진은 새로운 인물들을 투입하였는데 더 큰 문제가 나타났다. 반복되는 실수는 패턴화 되었고 그 웃음에는 곧 익숙해지기 때문이었다. 결국 <진짜 사나이>에게 성공을 가져다 준 군대라는 환경은 독이 되기 시작했다. 예능인들이 예능감을 펼쳐보이면 군대라는 환경에 가로막혀 ‘개념없는’짓이 되고, 군대에 너무 잘 적응하면 재미가 없으며, 적응을 못하며 어긋나는 박자에 대한 웃음은 곧 식상해지고 말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희망이 있었던 것은 ‘여군특집’이었다. 여성의 군대체험이라는 소재로 혜리가 포함되어있던 1기부터 3기에 이르기까지 방영만 하면 동시간대 1위를 수성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현재 방영되고 있는 여군특집 4기는 10%대 초반의 시청률로 동시간대 꼴지를 기록했다. 이제 더 이상 여군도 통하지 않는 단계가 된 것이다. 더군다나 <진짜 사나이>에 쏟아지는 악평은 기세를 더해가고 있다. 심지어 ‘가짜 사나이’라는 오명마저 얻었다. 그런 악평을 얻게 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가장 큰 문제는 군대라는 배경에 대한 괴리감이다. 군대는 길어야 일주일이 채 되지 못하는 촬영기간 동안 열심히 하면 나올 수 있는 곳이 아니다. 남자들에게는 최소 21개월 동안 의무 복무를 해야하는 곳이고 여성이 입대한다 하더라도 훈련만 5주가 넘는다. 일주일도 안 되는 짧은 기간동안 군대를 가는 것은 입대라는 표현보다는 차라리 ‘체험’이라는 표현이 맞다. 그러나 예능의 특성상 그 체험은 과장되고 극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체험기간 동안 부모님 생각에 눈물을 흘린다거나 자신의 한계를 돌파한다거나 하는 식의 이야기를 쥐어짜내려고 하는 것은 감동보다는 가식에 가깝다.
일명 군데리아(군대에서 제공되는 햄버거의 별칭)의 맛에 찬사를 보내는 등, 군대식을 찬양하는 모습 또한 군필자들에게는 실소를 터지게 하는 장면이다. 군데리아는 한 번 쯤 먹어볼만한 별미가 아니다. 일주일회 1회 이상, 아침마다 제공되는 군데리아의 맛에 물리지 않은 군인들을 찾기는 힘들다. 더군다나 밥을 먹으면서 그 밥맛이 어떤지를 논하면서 먹을 수 있는 훈련소는 단 한군데도 없다. 밥을 먹을 때는 조용히 밥 먹는 것만 집중해야 한다. 조금이라도 떠들었다가는 불호령이 떨어지기 십상이다. 분위기 자체가 군대와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이상화 하는 <진짜 사나이>에 쏟아지는 평가가 점점 악화되는 것도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다. '예능'이라는 이유로 실제 군대라면 욕설이라도 날아올 일들은 너무도 당연한 듯이 전개되는 경우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군대의 이미지를 좋게 포장하면 할 수록, 오히려 실제와의 간극은 더욱 벌어지고야 만다.
군대는 누군가에게는 현실이다. 사실 가장 부조리하고 이해 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일어나는 곳도 바로 군대다. 그런 부조리함은 <진짜 사나이>가 다룰 수 없는 영역이다. 사실은 그 부조리함과 답답함이 군대를 규정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훈련을 열심히 받고 뛰어난 능력을 보이면 자랑스러운 군인이 될 수 있다는 식의 호도에 공감이 갈 수는 없다. 웃음도 사라지고 공감대도 없으니 당연히 시청률을 떨어진다. 그렇다고 현실적인 군대를 다루면 그것은 예능이 아니라 다큐다. <진짜 사나이>는 딜레마에 빠졌다.
이번 여군 특집에서 출연자 중에는 스타 탄생이 없었다. 오히려 마이너스 결과를 받아든 출연자들이 더 눈에 띄었다. 쉬운 맞춤법이나 기본 상식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연예인들에게서 웃음을 찾아야 할까, 한숨을 지어야 할까. 11자 복근에 명품 몸매라는 타이틀을 가지고도 팔 굽혀 펴기를 단 하나도 하지 못하는 출연자들의 운동신경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군대는 며칠 동안 훈련을 받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극기 훈련장이 아니다. 진짜 사나이는 진짜 될 수 없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웃음 포인트를 모두 들키고도 같은 패턴으로 일관하는 <진짜사나이>에 남은 수명은 아마도 이제 그리 길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