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1박2일>등 장수하는 예능의 중심은 남자다. <런닝맨>처럼 여성이 고정 멤버로 들어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프로그램의 분위기 자체가 남성 위주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심지어 육아도 남자가 하고 셰프 예능의 셰프들도 모조리 남자다. 여성 예능은 이벤트 성으로 하는 <진짜사나이>이나 <정글의 법칙>의 여성 특집 정도에서만이 찾아 볼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도 특유의 예능감을 뽐내며 두각을 나타내는 여성 예능인들은 꾸준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여성에 의한 예능은 제대로 기획되지 않고 있다는 것만큼은 부인할 수 없다.

 

 


박미선은 2월 JTBC 예능 <아는형님>에 출연해 “(여성예능인들이 설자리가 없는 것에 대해) 자료도 많이 찾아본 후 공감도 하고 반성도 많이 했다”면서도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예능인들과 균등한 기회가 주어졌느냐를 생각해 봐야 한다”면서 여성 예능에 대한 목마름을 드러냈다.

 

 


이런 상황에서 <언니들의 슬램덩크>는 실로 오랜만에 제작된 여성 예능인들만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라미란, 김숙, 홍진경, 민효린, 제시, 티파니등 예능인들 뿐 아니라 가수, 배우등 여성들만이 주축이 된 프로그램으로 그들의 꿈과 목표를 스스로 정하고 이뤄가는 과정을 담아낸다. 주제나 미션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 해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지만, 그 안에서 여성들의 주체성과  개성이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김숙이나 홍진경처럼 예능에 익숙한 인물들의 예능감도 좋고, 그들이 스스로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스토리 역시 예능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메이크업 아티스트나 걸그룹에 도전하면서 그들이 가진 끼가 방출되는 지점이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여기에 김숙과 제시의 앙숙 관계등이 부각되면서 캐릭터역시 슬슬 잡혀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여전히 <언니들의 슬램덩크>는 동시간대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아직 4회 정도가 방영되었을 뿐이지만 첫방에서 6.4%를 기록한 <어서옵쇼>에 비교하면 상당히 아쉬운 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여성 예능이 아직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다소 힘에 부치는 상황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여성예능인들의 부진은 리얼버라이티 장르가 강세를 얻으며 뚜렷해 졌다. 망가지기를 두려워하지 않고 체력적으로 힘든 일까지 해내야 하는 리얼버라이어티 속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의 역할이 더 부각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여성들의 체력이나 생리적인 문제에서 시작해서 화장을 지울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사소한 문제까지 여성 예능인들은 남성 예능인들에 비해 리얼 버라이어티에 적응을 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또다시 이어진 육아예능이나 쿡방 붐 역시 여성 예능인에게 쉽지 않은 자리였다. 육아나 요리는 여성들이 강세를 보이는 장르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그 안에서 주목을 받는 위치에 설 수 없었다.그 이유는 여성이 육아를 하고 요리를 하는 장면은 ‘신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없이 TV에서, 가정에서 보았던 모습을 예능적인 가치를 가진 장면으로 탄생시키기는 힘들었다. 아무리 남녀 평등 시대로 가고 있다해도 여전히 여성들의 육아나 요리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 당연한 장면이 흥미로울 리 만무하다. 성별만 바뀌었을 뿐인데 남성의 육아나 요리는 훨씬 더 시선을 사로잡는다. 예능계에서 여성은 다시 뒷전으로 밀려났다.

 

 

 


 

김숙, 박나래, 장도연, 이국주 등 그런 상황 속에서도 뛰어난 예능감과 독특한 개그 스타일을 가진 여성 예능인들의 출현이 이어졌지만 그들의 성공은 환경과 상황의 조합이 만들어 냈다기 보다는 그들 스스로의 역량에 기댄바가 컸다. 여성 예능인들을 위한 무대가 좁아진 상황에서 <언니들의 슬램덩크>는 반가운 예능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그들이 확실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남성 예능과 차별화되면서도 시청자들을 즐겁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포인트가 있어야 한다. 그들의 도전기는 확실히 흥미롭지만 큰 웃음 포인트를 만들어 낼 만큼 자극적이지는 않다. 확실하게 시청자들을 끌어모으기 위해서는 남성 예능못지 않은 콘셉트와 웃음이 필요하다. 그들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면서도 여성적인 웃음 포인트를 만들어 내는 데 대한 고민은 더 들어가 있어야 한다. ‘여성들만의’ 그 무언가가 아직은 확실히 눈에 띄지는 않는다. 

 

 

 

 


 

그러나 아직 방송 초반인 지금 반등의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 확실히 전체적인 그림 역시 호평을 내릴만하다. 그러나 여성 예능의 부활을 이끌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전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과연 <언니들의 슬램덩크>는 여성 예능 부활의 신호탄이 될까, 아니면 또다시 사라지고 마는 작은 이벤트가 될까. <언니들의 슬램덩크>가 그만의 매력으로 여성들이 설 자리를 조금이나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