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후예>의 성공은 지상파의 시청률 파이가 작아졌다는 편견을 깨주는 하나의 사건이었다. 한국에서는 물론 중국에서도 큰 반향을을 일으킨 <태양의 후예>를 통해 KBS는 한껏 고무된 분위기였고 앞으로 방영될 드라마의 성공에도 기대를 거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그러나 <태양의 후예> 이후, 화제성과 시청률면에서 이에 준하는 작품이 나오지 못했다. 비단 KBS의 문제는 아니다. 지상파 삼사가 모두 고전하고 있는 느낌이 강하다. KBS의 <동네 변호사 조들호>(이하<조들호>)의 성적이 나쁘지는 않았지만 박신양이라는 톱스의 힘이 컸다. 또한 화제성이나 파급력이 ‘올해의 드라마’로 뽑힐 정도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조들호> 이후는 더욱 처참하다. 현재 방송삼사의 월화수목 10시 대 드라마가 모두 시청률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0%를 겨우 넘는 드라마도 있지만 시청률은 도긴개긴 이고 1위의 의미도 크게 없는 것이 사실이다. 반면 케이블은 <응답하라 1988> <시그널> <또 오해영> <욱씨 남정기> <디어 마이 프렌즈>(이하 <디마프>)등 호평을 듣는 드라마들을 대거 양산해 내고 있다. 올해의 대표작이라고 한다면 지상파보다는 케이블의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지나친 톱스타 마케팅...오히려 화를 부른다.
<또! 오해영>의 서현진은 이제 막 날개를 펴기 시작한 배우다. 주연을 맡은 작품도 있었지만, 화제성이 높은 배우는 아니었고 거의 조연으로 활약하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또! 오해영>으로 서현진에 대한 평가는 180도 달라졌다. 주연급이었지만 그동안 호쾌하게 배우로서 자리매김했다고 보기 어려운 남자 주인공 에릭도 마찬가지다. <또! 오해영>은 스타를 기용하지는 않았지만, 스타를 탄생시킨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태양의 후예>나 <조들호>를 보자. <태양의 후예>의 송중기, 송혜교나 <조들호>의 박신양은 이미 수차례 드라마를 성공시킨 스타들이다. 특히 <태양의 후예>는 방영 전부터 엄청난 제작비와 그에 준하는 홍보로 화제가 된 작품이다. 물론 예상보다 더 큰 히트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성공은 어느 정도 담보되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조들호>역시 박신양의 고군분투가 빛나는 작품이었다.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빠져들게 만드는 박신양의 연기력이 빛을 발했다.
앞으로 기대작 라인업 역시 수지, 김우빈이 주연을 맡고 이경희 작가가 극본을 쓰는 <함부로 애틋하게>, 박보검 김유정이 주연을 맡은 동명 웹소설 원작의 <구르미 그린 달빛> 등 스타 마케팅에 기댄 작품이 주를 이룬다. 시청률이 중요한 방송사 입장에서 이런 현상이 꼭 나쁘다고는 할 수 없지만 화제성을 스스로 일으키기 보다는 스타에 기대어 화제성을 부풀리는 것은 위험하다. 스타보다는 작품에 집중해야 한다는 기본을 지키지 않으면 성공은 요원하기 때문이다. <운빨로맨스>나 <딴따라>가 ‘믿고 보는’ 배우들을 기용했음에도 실망스러운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한정된 장르...시청률만이 전부일까.
지상파가 추구하는 장르 역시 로맨틱 코미디나 멜로가 대부분으로 시청률을 다분히 의식하고 만들어지는 모양새다.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고 색다른 스타일의 도전을 서슴지 않으며 그 속에서 스타들이 대거 양산되는 케이블에 비해 지나치게 위축되어 있는 느낌이다.
예를 들어 <디마프>는 공중파에서 방영되기 어려운 성격의 소재다. 노희경 작가조차 “이런 작품을 받아준 방송사에 대해 고마운 마음이 있다”고 밝혔을 정도. 한류와 시청률을 지나치게 의식한 지상파의 분위기는 사랑이야기와 막장 드라마에 지나치게 편중된 드라마 라인업을 만들었다. 그 속에서도 나름의 해결책을 찾고 시청자가 새롭게 느낄 수 있는 포인트를 준다면 달라질 수 있었겠지만 사실상 그런 포인트가 발견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드라마가 끝나는 즉시 관심도 식는다.
오랫동안 회자되는 드라마는 오히려 케이블에서 나오고 있다. 시도가 없으니 발전도 없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시점이다. 지나친 매너리즘은 경계해야 할 일임에 틀림없다. 검증된 작과와 스타를 쓰는 것은 어느 방송사나 가능하다. 실제로 많은 스타들과 스타작가들이 케이블로 터를 옮겼다. 그 안에서 자신이 보여줄 작품 세계가 훨씬 더 잘 구현 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다. 지상파는 스타기용의 한계에서 벗어나 누구의 작품이든 누가 출연하든지 간에 작품 자체를 살릴 수 있는 과감한 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지상파만의 강점을 가질 수 있다.
지상파의 부진은 이처럼 예견된 일이었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작품에 투자하여 얻은 성공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성공할 줄 알았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면, 그 때는 몸을 사릴일이 아니라 더 확실한 방송사만의 방향성을 보여줄 때다. 시청자들은 스타와 작가에의해 움직이기도 하지만, 기대하지 않았던 속에서 의외의 재미를 발견할 때, 더 큰 박수를 쳐 줄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