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그럴 수는 있다. 예능이 지나치게 자극적인 방송을 하거나, 삐뚤어진 세계관을 바탕으로 잘못된 가치관을 주입시키는 행위에 시청자들이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아는 형님>에 쏟아진 논란은 단순히 김희철의 표정에서 비롯되었다. 상황은 이렇다. 게스트 가인이 운전면허가 없다고 하자 민경훈이 사고쳤니? 취소당했어?”라고 묻는다. 그 때 뒤에 있던 김희철이 어깨를 잡으며 하지 말라고 말한다. 김희철이 소속되어 있는 슈퍼 주니어의 멤버 강인을 다분히 의식한 개그다. 그러나 이를 두고 실제로정색을 했다면서 논란이 인 것이다.

 

 

 

 

이 사건으로 논란을 의식한 제작진은 물론, 당사자들인 김희철과 민경훈까지 해명을 하는 웃지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논란이 될 여지가 전혀 없는 일을 논란으로 만들어 괜한 해프닝이 벌어진 것이다. 이를 두고 이런 일이 일어난 것 자체가 황당하다는 의견들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이런 황당한 상황은 단순히 이번 한 번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시청자들이 예능을 대하는 방식의 문제를 고스란히 들어낸 단적인 예다.

 

 

 

 

프로 불편러라는 말이 생겨났다. 무슨 사안이든지 불편함을 느끼고 아니꼬워 하는 사람들을 비아냥 거리는 말로 인터넷 신조어다. 그런 말이 등장할 만큼 한국 분위기는 지금 화로 가득 찬 상태고 그 화를 제대로 표출할 길이 없어 보인다. 결국 그 화가 향하는 곳은 상대적으로 만만한 연예계 속 연예인들인 경우가 많다.

 

 

 

 

 

단순히 김희철의 정색이 논란이 된 사항 자체가 문제가 아니다. 그런 상황이 이미 자연스러워져버린 분위기가 오히려 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예능속에서 스타들은 생각보다 많은 제약을 받는다. 그 제약은 단순히 누군가를 비하하고 반사회적인 개그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능 속에서 연예인들은 지나치게 솔직해서도,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서도, 분위기 파악을 못해도 안 된다. 그 모든 행동에서 시청자들은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여자 연예인들이 예능에 출연했을 때, 그들의 위치는 굉장히 애매하다. 진행자의 요구를 거부해서도 안되지만 그렇다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드러내서도 안 된다. 겸손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병풍이 되어서도 안 된다. 애교를 거절했다는 것만으로도 카라 출신 강지영은 비난의 물결에 휩싸였고, 시키는대로 랩을 했던 AOA의 지민은 먼저 자신을 디스한 래퍼에게 대응했다는 이유만으로 쿨하지 못한여자가 되었다. 김하늘은 감자옹심이를 고집스럽게 만들었다는 이유로 비호감이 되었고 윤보미는 음식을 잘 먹었다는 이유로 혜리를 따라한다는 비난에 직면해야 했다. 역사 문제를 잘 모르는 연예인들에 대한 비난도 상상이상으로 강하다. ‘긴또깡 사건으로 논란에 직면했던 설현과 지민은 쇼케이스에서 눈물을 흘리며 사과해야 했다.

 

 

 

 

남자 연예인들도 이런 분위기속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아는 형님>의 김희철 뿐 아니라, 박명수나 정준하는 태도 논란으로 수차례 논란이 된 대표적인 연예인들이다. 김제동역시 얼마 전 <미운 우리새끼>에서 소개팅을 했던 상대방 대한 무례한 태도로 큰 논란이 일었다. 그들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성격에 대한 이해, 앞 뒤 맥락에 대한 파악, 그리고 결정적으로 당사자의 기분에 대한 정보가 없지만, 그 문제보다 중요한 것은 그들이 얼마나 시청자들에게 불편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느냐다.

 

 

 

 

 

이런 비난의 흐름은 도대체가 맥락이 없다. 그저 뭔가 저들이 거슬린다는 이유 하나로 논란은 점화되고 분위기는 삭막해진다. 그러나 예능의 분위기 속에서 여러 가지 이야기와 감정들이 오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물론 그 과정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있는 편이 좋지만, 모든 인간들은 완벽하지 않다. 그들의 작은 실수 하나에도 꼭 지적을 해야 직성이 풀리고, 때로는 실수도 아닌 단순한 해프닝을 곱게 넘기지 못하는 시선이 훨씬 더 불편하고, ‘이상하다.

 

 

 

 

유재석에게 유느님이라는 칭호가 쏟아지고, 박보검 에게 바른 청년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처럼, 예의 바른 연예인들에 대한 호감도는 분명히 높다. 그들의 행동은 보기에 좋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런 태도를 신격화하고 그들에 대한 평가를 지나치게 높히는 것은, 그 반대급부에 대한 저항감이나 거부감으로 비롯된 현상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누구나 다 그렇게 행동할 수는 없고, 본인만의 개성이 있다. 연예인들도 사람이고 그들에 대한 문제점을 세세하게 찾아내기 이전에, 마음을 조금만 넓혀 이해를 해보려는 시도를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 가 한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