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주말드라마 <우리갑순이>tvN <혼술남녀>는 모두 공시생을 다룬 드라마다. <우리 갑순이>는 주인공들을 공시생으로 설정했고, <혼술남녀>는 공시생과 노량진 학원 강사들을 주인공으로 노량진의 삶을 전반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드라마에 대한 평가는 극명히 나뉜다. <우리 갑순이>는 공시생을 다뤘지만 이 시대 청춘들이 느끼는 감정을 제대로 포착해 내지 못하며 주인공들에 대한 반감을 키웠고, <혼술남녀>는 현실적이면서도 공감가는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에 대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런 차이는 어디서 왔을까.

 

 

 

 

 

<우리 갑순이>의 문영남 작가는 젊은이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하면서 그들의 취업난에 눈을 돌렸지만, 막장의 대가 답게 그들의 상황도 막장으로 치달았다. 공시생이라는 소재로 눈을 돌린 것 까지는 좋았으나 문제는 바로 그런 소재를 다루는 능력에 있었다.

 

 

 

 

이를테면 허갑돌(송재림 분)이 돈을 잃어버리는 과정이 단적인 예다. 허갑돌은 지하철에서 신갑순(김소은 분)과 함께 살 집을 얻을 보증금 500만원을 잃어버리는 실수를 한다. 그러나 그 설정 자체에 공감을 표하기란 어렵다. 핸드폰 어플만 다운받아도 계좌 이체가 가능한 것이 요즘 세상이다.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면 은행에 잠깐 들러 ATM기를 이용하면 그만이다. 그 편이 돈 거래 기록도 남고, 돈을 잃어 버릴 상황도 만들지 않는 훨씬 더 간편하고 좋은 방법임에도 굳이 현금을 들고 다니는 허갑돌 캐릭터는 마치 2016년을 살고 있지 않은 듯 하다

 

 

 

 

 

갑돌이는 이후 또 빌린 500만원을 잃어버릴 위기에 처한다. 이번엔 퍽치기다. 두 번이나 같은 위험에 처하는 상황이 지나치게 작위적이라는 비판은 차치한다고 해도한 번 500만원을 잃어버리고도 똑같은 방식으로 돈을 운반하는 갑돌이의 지능에 의문을 제기 할 수밖에 없다

 

 

 

 

 

여주인공 갑순이를 대하는 방식 역시 지나치게 고루하다. 10년을 사귀고 임신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결혼, 그 이전에 동거를 생각할 만큼 요새 청춘들은 순진하지 않다. 아무도 합격하지 못한 공시생에, 당장 누구도 책임질 상황을 만들어 줄 수 없는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부담감에도 남자 친구와 어떻게든 살아보려 하는 갑순이는 도무지 현실에 있을법하지 않은 캐릭터다. 설령 현실에 있다고 하여도 그런 캐릭터에 공감하는 사람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굳이 그렇게 살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간섭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겠지만, 문제는 그들이 드라마 주인공이라는 것이다. 결국 남자 주인공도 여자 주인공도 도무지 응원하기 힘들게 만들어 버린 스토리의 실책이다.  

 

 

 

 

 

동거 생활에도 게임으로 시간을 탕진하는 갑돌이의 모습은 여기에 기름을 붓는다. 청춘의 치열함보다는 허갑돌의 황당함에 초점을 맞추며 공감보다는 자극을 택한 것이다.문제는 자극은 확실히 있지만, 그 인물들에 대한 시청자들의 호감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은 막지 못했다. 차라리 열심히 하지만 고배를 마시고 현실에 벽에 부딪히는 청춘으로 그렸다면 그들에게 동정이라도 할 수 있을 터인데, 이야기를 뜯어보면 결국 그들은 자신의 선택으로 불행해 지고야 마는 캐릭터다. 열심히 하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섶을 지고 불구덩이에 뛰어드는 캐릭터에게 시청자들은 어떤 희망도 발견할 수가 없다. 결국 <우리 결혼했어요>출연으로 케미 커플이라는 찬사를 들은 그들은 이 드라마에서 만큼은 비호감 커플이 되어 버렸다.

 

 

 

 

 

<혼술남녀><우리 갑순이>보다 훨씬 더 경쾌하다. 고시원에서 살아가며 학원에 다니는 노량진 공시생의 삶을 그렸지만, 기범(키 분)이나 진공명(공명 분)의 캐릭터는 무조건 비굴하고 비참한 삶이 아니다. 오히려 진공명은 공무원을 하고 싶지도 않은데 억지로 그 자리에 앉아있는 캐릭터다. 그들은 후줄근하게 다니지도 않고, 패션에도 신경을 쓴다. 또한 그 안에서도 나름대로의 즐거움을 찾고 친구의 관계, 인간 대 인간으로서의 정을 나눈다. 편견처럼 자리잡힌 공시생의 답답하고 어두운 삶을 탈피하고 코믹한 터치로 그려내며 오히려 캐릭터에 집중해 공감을 얻어낸 것이다.

 

 

 

 

 

박하나(박하선 분)는 노량진에 입성한 강사지만, 종합반도 맡기 힘든 열악한 스펙의 소유자다. 그가 학원에서 성장해 나가려는 고군분투는 안쓰러우면서도 웃음을 동반한다. 열심히 살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치는 그의 삶은 극단적으로 그려지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응원하고 싶어진다. 때로는 비굴하고 비참하더라도 꿋꿋이 내일을 살아가려는 주인공에게 시청자들은 감정이입을 하게 된다.

 

 

 

 

같은 공시생의 삶이지만 젊은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전개는 종이 한 장 차이다. 그러나 현시대 청춘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드라마와 그렇지 못한 드라마가 다루는 청춘의 현실에 대한 반응은 극과 극으로 갈렸다. 소재 자체 보다도 그 소재를 어떤 터치로 그려내느냐가 훨씬 더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