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왕 루이>가 결국 시청률 1위를 차지하면서 역주행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쇼핑왕 루이>는 귀여운 캐릭터들과 쉬운 스토리 라인을 바탕으로 중간 유입 시청자들을 끌어 모으며 좋은 결과를 이뤄내고야 말았다. <쇼핑왕 루이>로 채널을 돌린 시청자들 중에서는 <질투의 화신>에서 빠져나간 시청자들도 다수 존재한다. 시청률 1위를 유지하던 <질투의 화신>은 왜 시청률이 떨어졌을까.
<질투의 화신>은 갈팡질팡하는 여주인공 표나리(공효진 분)의 마음을 극대화 시켜 아예 대놓고 양다리를 걸치는 스토리로 방향을 전개시켰다. 다자연애라는 생소한 소재가 그만큼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그만큼 생소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아예 처음부터 그런 관계를 서로 이해하고 시작한 연인 사이가 아니라, 서로를 독점하고 싶어하는 평범한 연인사이에서 벌어진 일이기 때문이다. 이 설정이 확실한 시청률을 담보하지 못한 것에는 이유가 있다. 표나리가 사랑스럽기는 하지만, 다른 연인을 인정해 줄 만큼 대단한 여성인가에 대한 고찰이 부족했던 것이다.
남자주인공인 이화신(조정석 분)과 서브 남자주인공인 고정원(고경표 분)은 모두 표나리를 독점하고 싶어한다. 더군다나 고정원은 표나리와 연애를 막 시작한 상황. 그러나 표나리에게 사랑을 느낀 이화신의 생떼가 시작되며 다자연애로 방향이 틀어진다. 고정원은 재벌 2세고, 이화신은 방송국 기자로 두 사람모두 능력있는 매력남으로 그려진다. 반면에 표나리는 착하고 순수하기는 하지만, 그 두 사람이 목을 맬 정도의 대단한 매력을 설득시키지는 못한다. 공블리라고 불리는 공효진의 사랑스러운 매력이야 이미 정평이 나 있지만, 표나리의 캐릭터가 공블리의 그늘에서 벗어나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아나운서를 지망하는 기상캐스터에 집안 환경도 궁색하다. 그렇다고 엄청난 미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지도 않다. '착하고 사랑스럽다'는 이유만으로 굳이 ‘표나리’여야 하는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런 이유가 거세된 관계 속에서 어떤 시청자들은 다소 감정을 따라가기 힘들어 한다.
<질투의 화신>이 가진 독보적인 개그 감각과 어디로 튈지 모르는 연애 관계라는 장점에 불구하고 시청률이 떨어진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두 사람을 사랑하는 여주인공의 감정선을 완전히 지지하기 힘들고, 셋이 함께 하는 연애를 인정할 만큼 남자 주인공들의 맹목적인 사랑을 이해하기도 힘들다. 로맨틱 코미디에서 로맨스에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든 것은 불리한 일이다. 물론 그런 신선함을 더욱 지지하고 있는 시청자들도 있지만, 이탈하는 시청층도 만만치 않았다. <쇼핑왕 루이>는 이에 비해 확연한 러브라인에 대한 결말을 처음부터 암시하지만, 캐릭터를 잘 구축해 그 사랑을 온전히 지지하게 만들며 결국 꼴찌에서 1위가 되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질투의 화신>이라는 드라마의 가치를 폄하할 수는 없다. 이 드라마야 말로 독보적인 고유의 스타일과 캐릭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질투의 화신>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남자 주인공 이화신의 캐릭터다. 이화신은 예전에 자신을 좋아했던 표나리에게 사랑을 느끼게 되는 인물로, 자신의 친구에게 표나리를 소개시켜 준 뒤 표나리에 사랑을 주체하지 못하고 표나리를 쟁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이다. 인물로서만 보면 참으로 ‘못난’ 캐릭터가 아닐 수 없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지 못해 여자를 놓치고 이미 기회가 지나간 후에야 그 여자를 잡겠다며 친구의 여자 친구에게 접근하다니. 이런 인물이 어찌 사랑스러울 수 있을까.
그러나 이런 인물에게 설득당하게 되는 말도 안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타이틀롤을 맡은 조정석의 연기는 이런 인물을 매력적으로 비춰지게 만들만큼 탁월하다. 표나리, 고정원 앞에서 잘못된 만남을 부르거나 표나리에게 “내가 (고정원보다) 더 좋지?”라고 묻는 어린애같은 행동, 고정원이 협찬해준 옷을 입지 않겠다며 그 앞에서 옷을 벗어 던지는 모습 등은 폭소를 터뜨리게 만든다. 여기에 표나리에 대한 진심을 어떻게 하지 못해 결국 모두 드러내고야 마는 그의 모습은 그 캐릭터를 사랑스럽게 만든다.
조정석은 진지함과 코믹함, 그리고 지질함을 모두 오가는 이 캐릭터를 거의 완벽에 가까울만큼 표현해 내며 설렘 포인트를 자극한다. 20화에 펼쳐진 ‘너랑 라면을 천번을 더 먹을 것’이라며 ‘결혼하자, 나랑. 물김치 있으면 가져다주고.’라는 고백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가장 적절한 프로포즈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런 담담한 고백을 설레는 포인트로 치환시킨 것은 조정석의 자연스럽고 능청스러운 연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공효진의 연기역시 공블리 답게 자연스럽지만, 이 드라마의 실질적인 주인공은 코믹과 진지함을 오가는 조정석의 캐릭터에 있다.
결국 이 드라마는 타이틀 롤을 맡은 이화신의 손을 들어주며 결말을 맺을 것이다. 다소 공감을 얻기 힘든 러브라인에도 불구하고 그 결말이 가장 이해되는 결말로 남을 수 있는 것은, 캐릭터를 설득시킨 조정석의 힘이 컸다. <오! 나의 귀신님>에 이어 다시 한 번 로맨틱 코미디에서 진가를 보여준 조정석은 차세대 로코킹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