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은 문근영이 남장을 한다는 소식으로 방영전 부터 화제가 된 드라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문근영이 남장을 했다는 사실 정도는 까맣게 잊어버릴 정도로 볼거리가 풍성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수목드라마 중에 꼴찌를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감히 조심스럽게 말을 꺼내 놓자면 잘만 하면 이드라마는 국민드라마 대장금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 드라마를 보면, 대장금같은 분위기가 어딘지 모르게 떠오른다. 나쁜의미가 아닌, 좋은 의미로.
2003년 대장금이 처음 방송되었을 때, 이영애가 연기한 서장금이라는 캐릭터가 시청자들의 호감을 샀던 이유는 그녀가 특출나게 똑똑하면서도 불쌍하고 위기가 닥칠때도 언제나 헤쳐나가는 용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항상 정의감 불타오르던 서장금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으며 50%의 시청률을 견인하는 계기가 되어준 것이었다.
이번에 문근영이 연기한 '신윤복'이라는 캐릭터 역시 장금에 못지않는다. 아니, 오히려 더 귀엽고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따듯한 마음씨를 지녔고 언제나 순수하고 맑아서 그 이유로 미움을 사기도 한다.
문근영은 신윤복 캐릭터를 누구보다도 잘 잡은 일등공신이다. 그녀가 연기하는 '그'는 진정 여자의 향기를 머금고 있기 보다 귀여운 남동생 같은 캐릭터로 충분히 거듭났다.
문근영의 연기만이 아니라 이 드라마가 가진 장점은 아주 다채롭다.
일단 문근영이 천재라는 설정하에 적을 많이 만들고 그 재능으로 인해 위기도 닥친다. 그리고 그 위기를 헤쳐나가는 과정이 아주 흥미롭게 펼쳐진다. 천재이기에 눈에 띄는 행동을 많이하여 미움을 사지만 그 재능으로 인해 또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은 이미 신윤복이 적어도 마지막회까지는 살아남을 수 있음을 알지만 그래도 그의 재능을 지켜보는 것은 즐겁기만 하다.
대장금에서 그 과정을 더 흥미롭게 만들기위해 음식이나 의술이 존재했다면 이 작품속에서는 그림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그림은 영상과 너무나 자연스럽게 어울어져 눈을 즐겁게 한다.
어떤 드라마에서 우리 그림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게 해주었던가? 오히려 우리 그림은 심심하고 지루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에게 까지 이 작품에 나오는 그림들을 보면서 감탄하게 만드는 것은, 이 작품이 단지 훌륭한 우리 그림을 소개하고 있는 것에 그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 안에 그 그림들을 적절히 녹여내어 뛰어난 영상미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신윤복은 화원시험을 치른다. 그 시험 때문에 다시 궁지에 몰리게 되지만은 그렇다고 해서 이 드라마는 절망적이지 않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맑고 순수한 영혼이 있기에 그가 다시 일어나 붓을 놀리게 되는 것을 지켜볼 기대감 만으로도 이 드라마는 충분히 그 가치가 있다.
그렇지만 이 드라마는 방송 삼사를 통틀어 시청률에서는 최 하위를 달리고 있다. [베토벤 바이러스]의 바람의 화원 못지 않은 매력과 신선한 코드가 시청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인듯 하고 [베토벤 바이러스]가 시기상으로도 먼저 방송 되었던 까닭이기도 하다. 물론 [베토벤 바이러스]도 놓치기 힘든 작품이지만, [바람의 화원]도 놓치고 싶지 않은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래서 나는 수요일마다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대체 어느 채널로 돌아가서 본방사수를 할 것인가 하는 즐겁지만 참으로 힘든 고민이다.
그래서, 비록 시청률이 끝날 때까지 꼴지이더라도 나는 결코 [바람의 화원]을 실패작이라 부르지 않을 것이다.
문근영이라는 연기자를 발견했다는 놀라움과 내 눈을 즐겁게해준 그 그림들, 그리고 박진감 넘치지만 거칠지 않은 그 오묘한 매력의 스토리는 이미 이 작품을 '성공작'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것이다.
앞으로 지금까지 처럼 이 드라마가 분발해 준다면, 나는 결국 [바람의 화원]의 큰 지지자가 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수목드라마 중에 꼴찌를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감히 조심스럽게 말을 꺼내 놓자면 잘만 하면 이드라마는 국민드라마 대장금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이 드라마를 보면, 대장금같은 분위기가 어딘지 모르게 떠오른다. 나쁜의미가 아닌, 좋은 의미로.
힘없는 능력자들의 이야기에 마음이 동한다
2003년 대장금이 처음 방송되었을 때, 이영애가 연기한 서장금이라는 캐릭터가 시청자들의 호감을 샀던 이유는 그녀가 특출나게 똑똑하면서도 불쌍하고 위기가 닥칠때도 언제나 헤쳐나가는 용기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항상 정의감 불타오르던 서장금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으며 50%의 시청률을 견인하는 계기가 되어준 것이었다.
이번에 문근영이 연기한 '신윤복'이라는 캐릭터 역시 장금에 못지않는다. 아니, 오히려 더 귀엽고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따듯한 마음씨를 지녔고 언제나 순수하고 맑아서 그 이유로 미움을 사기도 한다.
문근영은 신윤복 캐릭터를 누구보다도 잘 잡은 일등공신이다. 그녀가 연기하는 '그'는 진정 여자의 향기를 머금고 있기 보다 귀여운 남동생 같은 캐릭터로 충분히 거듭났다.
문근영의 연기만이 아니라 이 드라마가 가진 장점은 아주 다채롭다.
일단 문근영이 천재라는 설정하에 적을 많이 만들고 그 재능으로 인해 위기도 닥친다. 그리고 그 위기를 헤쳐나가는 과정이 아주 흥미롭게 펼쳐진다. 천재이기에 눈에 띄는 행동을 많이하여 미움을 사지만 그 재능으로 인해 또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은 이미 신윤복이 적어도 마지막회까지는 살아남을 수 있음을 알지만 그래도 그의 재능을 지켜보는 것은 즐겁기만 하다.
대장금에서 그 과정을 더 흥미롭게 만들기위해 음식이나 의술이 존재했다면 이 작품속에서는 그림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그림은 영상과 너무나 자연스럽게 어울어져 눈을 즐겁게 한다.
어떤 드라마에서 우리 그림을 아름답다고 느낄 수 있게 해주었던가? 오히려 우리 그림은 심심하고 지루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에게 까지 이 작품에 나오는 그림들을 보면서 감탄하게 만드는 것은, 이 작품이 단지 훌륭한 우리 그림을 소개하고 있는 것에 그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 안에 그 그림들을 적절히 녹여내어 뛰어난 영상미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신윤복은 화원시험을 치른다. 그 시험 때문에 다시 궁지에 몰리게 되지만은 그렇다고 해서 이 드라마는 절망적이지 않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맑고 순수한 영혼이 있기에 그가 다시 일어나 붓을 놀리게 되는 것을 지켜볼 기대감 만으로도 이 드라마는 충분히 그 가치가 있다.
그렇지만 이 드라마는 방송 삼사를 통틀어 시청률에서는 최 하위를 달리고 있다. [베토벤 바이러스]의 바람의 화원 못지 않은 매력과 신선한 코드가 시청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인듯 하고 [베토벤 바이러스]가 시기상으로도 먼저 방송 되었던 까닭이기도 하다. 물론 [베토벤 바이러스]도 놓치기 힘든 작품이지만, [바람의 화원]도 놓치고 싶지 않은 작품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래서 나는 수요일마다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대체 어느 채널로 돌아가서 본방사수를 할 것인가 하는 즐겁지만 참으로 힘든 고민이다.
그래서, 비록 시청률이 끝날 때까지 꼴지이더라도 나는 결코 [바람의 화원]을 실패작이라 부르지 않을 것이다.
문근영이라는 연기자를 발견했다는 놀라움과 내 눈을 즐겁게해준 그 그림들, 그리고 박진감 넘치지만 거칠지 않은 그 오묘한 매력의 스토리는 이미 이 작품을 '성공작'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것이다.
앞으로 지금까지 처럼 이 드라마가 분발해 준다면, 나는 결국 [바람의 화원]의 큰 지지자가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