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임이 <띠동갑내기 과외하기(이하 <띠과외>)에서 쥬얼리 출신 방송인 예원에게 욕설을 퍼부운 사건의 여파가 거세다.
상황은 이러했다. 촬영에 늦은 이태임을 대신하여 이재훈이 직접 예원을 부른 것이 화근이었다. 녹화 내내 기분이 상해있던 이태임은 예원에게 욕설을 퍼부었고 결국 <띠과외>를 하차하기에 이른다. 처음에는 ‘건강상 하차’라는 기사가 떴지만 곧 욕설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지면서 이 사건을 덮을 수 없을 지경에 놓였다.
이후 욕설 논란은 이태임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졌고 이태임은 드라마 <내 마음 반짝 반짝 (이하 <내반반>)>에서도 하차설이 떠돌았다. 곧 <내반반>측은 이태임의 하차는 없고 분량을 축소할 것임을 밝혔지만 이태임의 이미지는 이미 나락으로 떨어진 후였다.
이 상황에서 그와 갈등을 일으켰던 예원 측과 <띠과외>의 제작진은 호쾌한 해명을 내놓지 않았고 묵묵부답이던 이태임은 결국 인터뷰를 통해 ‘욕한 것은 잘못이지만, 그 친구(예원)가 먼저 나한테 반말을 했다.’며 ‘루머가 난무하는 것을 참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에 이르렀다.
예원측은 그동안 모든 일들을 이태임의 갑작스러운 돌발 행동으로 몰아가며 방송 카메라가 있는 와중에 욕설은 불가능하다며 이태임의 말을 전면 부인하고 나섰지만 이미 상황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었다. 이태임의 주장 역시 충분히 설득력이 있었고 예원이 먼저 반말을 건네며 기분을 상하게 만들었을 가능성 역시 부정할 수 없게 되어 버린 것이다.
사실 이런 사건에서 진실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대중은 자신이 마음가는대로 추측하게 되어있다. 분위기를 전복시키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욕설이 담긴 테이프를 제작진 측에서 쉽사리 내놓을리 없다. 결국 이 사건은 대중의 심판에만 흐름을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차라리 이런 사건이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는 편이 모두를 위해 옳은 선택이었다. 그러나 이미 알려져 버린 사건에 대해서는 후속 대처가 더 중요하다. 무조건적인 감싸기는 오히려 의구심을 증폭시킬 뿐이었다.
일단 욕설을 한 것은 백번 이태임의 잘못이지만 후배에 어리기까지 한 예원의 태도 논란 역시 가라앉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띠과외>는 폐지설에 휩싸였다. 제작진은 ‘<띠과외>폐지는 낭설’이라며 전면 부인에 나섰지만 논란에 이어 폐지설까지 휩싸인 프로그램의 이미지까지 추락했다. 노이즈는 일었지만 마케팅에는 실패한 것이다.
결국 이 사건에 관련된 인물들은 단 하나의 이득도 얻지 못한 채, 씁쓸한 결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 사건에서 피해자가 되지 않는 법은 단 하나다. 명명백백히 잘잘못을 가릴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는 것 뿐이다. 그들의 주장은 어디까지나 일방적일 뿐이다. 차라리 애초에 융단폭격을 맞은 이태임에 대한 여론은 더 나빠질 것이 없지만 이 사건의 피해자로 묘사 되었던 예원에게도 문제가 있다는 의혹만으로도 예원의 이미지는 걷잡을 수 없이 추락하고 만다.
구설수라는 것이 그렇다. 진실이든 진실이 아니든, 그 본질은 그들에 대한 이미지다. 이 사건에 대한 관심이 아직까지 영향력이 있는 한, 그들의 행보에 대한 관심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그 예로 행사를 취소한 예원은 ‘욕설 논란 때문이 아니다’라는 해명을 해야 했고 이태임 역시 <내반반>촬영장에 모습을 나타낼 것임이 기사화 됐다.
이 사건으로 모두 잃기만 했다. 승자는 없고 패자만 있는 게임에서 그들의 역할은 집중 포격을 당하는 것 뿐이다. 집중 포격으로 잃어버리는 것은 크지만 얻을 것은 하나 없다. 그 잃어버린 것을 다시 찾으려면 이런 구설수를 지워버릴 만큼 강력한 인기나 다른 화젯거리가 필요하다. 그들이 과연 이 슬럼프를 극복하고 더 높이 날아오를 수 있을까. 그들이 극복해야하는 짐의 무게가 가볍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