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미더머니>나<언프리티 랩스타>등으로 힙합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음악이 각광 받는 것은 분명 긍정적인 일이다. 그러나 단순한 일회성 화제로 끝날 것인가, 아니면 인기를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는 출연자들의 몫이 크다.

 

 

 

 

<언프리티 랩스타>에서는 난데없는 디스전이 등장했다. 디스란 상대방을 깎아내린다는 뜯의 은어다. <언프리티 랩스타>에서 출연진중 졸리브이가 타이미에게 독설을 내뱉으며 시작된 이 디스전은 프로그램 사상 최고의 화제를 몰고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 장면이 과연 그 둘의 향후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느냐를 두고 볼 때는 긍정적인 답을 내릴 수 없다. 

 

 

 

 

 

힙합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즐기는데서 그 의미가 있다. 그렇기에 서로간의 비방도 허용되고 다소간의 욕설도 인정된다. 자신의 생각으로 남을 비판하고 깔아뭉개는 것 또한 힙합이 가진 매력중 하나다. 힙합의 재미를 이끌어 내는데 ‘디스’라는 방법이 상당히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졸리브이의 ‘디스’는 힙합정신이라고 볼 수 없었다. 졸리브이는 처음부터 타이미의 과거를 걸고 넘어졌다. 타이미는 과거 19금 래퍼 이비아로 활동한 전력이 있었다. 그 당시 타이미는 소속사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수위가 높은 랩을 해야 했고 자신의 목소리 톤까지 바꿔야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졸리브이는 그 과거를 집요하게 파고들며 타이미에게 ‘디스’를 선사했고 타이미도 이에 지지 않고 욕설과 외모비하로 맞서며 둘의 디스전은 과격화 되는 양상을 띄었다.

 

 

 

 

 

이번에 방송된 회차에서도 타이미와 졸리브이의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장면이 골자였다. 타이미는 “얼굴도 마주치기 싫다.”며 디스전을 거부했고 졸리브이는 “그럼 왜 나왔느냐.”고 반문했다. 대기실에서도 이런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졸리브이는 “나랑 마주치기 싫었으면 나오지 말았어야 한다”고 인터뷰했고 타이미는 “다 들린다. XXX"라며 욕설을 내뱉었다.

 

 

 

 

결국 둘은 제작진과 MC에 의해 살벌한 디스전을 다시 한 번 이어가야 했다. 둘 중의 누가 더 잘했고 잘못했고를 따지자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이들이 사랑한다는 힙합이 정녕 자신에게 피해를 주지도 않은 누군가에게 욕을 내뱉고 과거를 들추어 내 창피하게 만드는 것에 있느냐 하는 것이다.

 

 

 

 

물론 외국에서는 더욱 심한 욕설과 성적인 뉘앙스, 그리고 노골적인 디스도 만연 해 있다. 그러나 그런 외국의 힙합이 과연 한국 정서와 맞느냐는 지점에서 진지하게 고민이 필요하다. 누군가를 꼭 깎아내리고 더러운 말들로 채워 넣어야 하는 것이 힙합이라면 그것은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자들의 음악이라기 보다는 열등감과 패배주의로 똘똘 뭉친 자들의 음악에 더 가까워 보이기 때문이다.

 

 

 

 

 

욕설과 비난을 통해 어느정도 힙합 정신을 피력할 수는 있지만 그것 또한 대중과의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때 빛이 나는 법이다. 관심도 없는 어느 한 개인의 아픈 과거사를 들추어 내거나 날 때부터 정해진 외모에 관한 단편적인 비난에 지지를 보내는 대중이 많을 것이라는 착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것은 힙합이 아니라 소음처럼 느껴질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런 소모적인 욕 배틀을 통해 대체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프로그램에서 벌어진 욕배틀은 단순히 그들 자체에 문제가 있지 않다. 화제성을 위해 그들의 싸움을 부추기고 그 욕설에 주목하게 만들도록 교묘하게 편집한 제작진에게도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 ‘힙합’이라는 것이 단순히 서로를 비방하기 위해 태어났다면 힙합 음악의 발전이 지금과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공유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 힙합이다. 서로를 이겨보겠다고 쥐어 뜯으며 인신공격을 내뱉는 것은 굳이 힙합이라는 이름을 빌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들 감정의 골은 그들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그를 부추기고 서로에게 쏟아내게 만든 제작진의 어리석음이 아쉬워지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

 

<킬미힐미>가 보여주는 세계관은 다이나믹하다. 시시때때로 인격이 바뀌는 주인공부터 21년 전의 비밀, 아동학대, 그리고 승진가의 권력 다툼까지. 이 모든 것을 한 드라마에 담아내면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은 작가의 필력이 빛나는 지점이다. 지성의 연기력 또한 충격적일 만큼 출중했다. 정신이 조각난 주인공이라는 설정이 녹록치 않았을 것임에도 망가짐을 두려워하지 않는 연기로 시청자들의 혼을 빼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킬미힐미>의 시청률은 하락했다. 한 때 11%까지 치솟아 올랐던 시청률이 다시 한 자리 대로 줄어든 것이었다. 동시간대 1위 타이틀은 KBS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하<착않녀>)>에 2회 연속 빼앗겼다. 인터넷에서의 뜨거운 열기는 이런 시청률의 결과를 의아하게 만든다. 매니아 층이 두텁게 생길만큼 웰메이드 드라마로서는 아쉬운 성적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착않녀> 역시 범상치 않은 기운을 뿜어내는 드라마다. 가족드라마의 탈을 쓰고 곳곳에 비밀스러운 장치를 해놓은 솜씨는 <맛있는 청혼> <메리대구 공방전> <태양의 여자>등을 집필한 김인영 작가의 내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클리셰를 독특하게 비튼 것 또한 많은 고민을 한 흔적이 역력하다. 강순옥(김혜자 분)이 남편의 내연녀였던 장모란(장미희 분)을 찾아가 가슴께로 하이킥을 날리는 장면은 이 드라마의 정체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머리채를 휘어잡거나 뺨을 때리는 장면이 아니라 화끈한 발길질 한 방으로 의외성은 물론, 드라마틱한 효과까지 잡았다. 3회부터 시청률은 11%까지 치솟으며 동시간대 1위로 떠오를만 했다.<킬미힐미>라는 강력한 경쟁작이 있던 와중에 얻은 성과라 더욱 의미가 깊다.

 

 

 

그러나 분명 <킬미힐미>에 쏟아지는 관심이 더욱 뜨거운 것은 사실이다. 호평은 받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조용한 <착않녀>가 어떻게 시청률 상승이라는 극적인 결과를 이뤄낼 수 있었을까.

 

 

 

 

여기에는 바로 전 연령층의 호응도가 중요하게 작용했다. 사실 <킬미힐미>는 인터넷 사용이 적극적인 2~30대의 호응이 뜨겁다. 드라마의 후반부에 각종 반전을 배치한 것은 시청자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배가시켰지만 새로운 시청층을 유입시키는 것은 무리였다. 초반부터 흐름을 따라온 시청자들에게는 각종 반전들이 퍼즐 조각 맞춰지듯, 적재적소에 배치되며 집중도를 높이지만, 처음 <킬미힐미>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에게는 이해되지 않는 퍼즐 조각 한 개일 뿐이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후반부로 갈수록 완성도가 높아지지만 시청률이 오르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킬미힐미>는 완성도가 높은 만큼의 시청자들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드라마이기 때문이다.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이런 집중도 높은 드라마에 피곤함을 느끼는 시청자들이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다.

 

 

 

<착않녀>는 그러나 등장인물부터 <킬미힐미>와는 다른 노선을 취한다. 이야기의 중심은 송재림이나 이하나같은 젊은 층이 아니라 김혜자나 채시라, 도지원등에 더욱 집중된다. 김혜자나 채시라는 중장년층의 호감도가 높은 배우들이다. 연기에 있어서도 명불허전 실력을 뽐냈다. 내용 역시 가족극 분위기를 적극 활용하여 그 안에서 불륜이나 다툼을 화제로 삼았다. 시청자들이 익숙한 패턴을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시청자들이 익숙하고 편하게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착않녀>는 단순히 여기서 멈추지 않고 클리셰를 비틀어 캐릭터를 강조한다. 강순옥은 남편의 내연녀인 장모란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오는 과감한 선택을 하고 천역덕 스럽게 ‘내 남편의 세컨드’라고 남들에게 소개한다. 장만옥이 곤란해질 때마다 고소해 하며 웃음을 참는 표정은 덤이다. 전체적인 내용보다는 소소한 에피소드의 캐릭터가 강조되며 중장년층의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

 

 

 

현재 드라마 시청률은 중장년층에 의해 결정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만 살펴보아도 <왔다, 장보리> <전설의 마녀> <장미빛 연인들>등이나 <가족끼리 왜이래>등 KBS주말극 등으로 중장년층의 입맛에 맞는 작품들이 강세를 보였다. 젊은 층은 본방보다는 다운로드나 다시보기를 적극 활용한다는 점에서 이런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드라마를 단순히 시청률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시청률이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만은 사실이다. 높은 시청률을 얻은 작품일수록 전 연령대의 고른 호응이 중요하다는 것을 <착않녀>는 증명해 내고 있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