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L의 오프닝에서는 “SNL은 1975년 미국 NBC에서 시작해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중동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는 40년 전통의 세계적인 코미디 버라이어티 쇼”라며 “오직 SNL에서만 볼 수 있는 최고 스타의 코미디, 패러디, 풍자로 시청자 여러분의 즐거운 토요일 밤을 책임지겠다”는 설명이 등장한다.

 

 

 

 

이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 코미디 프로그램으로서의 명성을 일찍부터 이어온 SNL은 풍자와 해학으로 명성이 높은 코미디 프로그램이었다. 최근 미국 SNL에서는 IS를 패러디한 개그로 논란의 도마위에 올랐다. 공항까지 딸을 배웅하러 나온 아버지는 딸을 태우러 온 IS트럭을 발견한다. “딸을 잘 돌봐달라”는 아버지의 말에 IS는 “미국에 죽음을”이라는 말을 남긴다.

 

 

 

 

 

이 패러디는 미국에서도 “지나친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그런 장면이 논란이 되건 안 되건 알 수 있는 한가지는 미국 SNL에는 그만큼 금기가 없다는 점이다. 어떤 이야기를 하든지 일단은 논란을 생각하지 않고 코미디의 금기영역을 최대한 확장했다는 것만은 큰 의미가 있다.

 

 

 

 

물론 한국에서라면 수위는 미국보다 높을 수 없다. 국민 정서와 감정을 건드리는 일이 미국에 비해 훨씬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어느 정도 수위를 조절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현재 SNL Korea는 SNL에 기대하는 수위를 지나칠 정도로 다운그레이드 시켰다.

 

 

 

 

SNL이 의미가 있었던 것은 단순한 코미디를 뛰어넘어 각종 사회문와 정치에 대한 비판과 풍자로 시청자들의 내밀한 욕구를 어루만져 주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한국 코미디가 몸개그나 외모지적등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SNL은 성역을 깬다는 점에서 한국 코미디가 갖지 못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그동안에는 다소 소극적으로 이루어지던 풍자가 19금이라는 마크와 함께 보다 노골적이고 적나라한 표현도 용인될 수 있었다는 점은 SNL의 존재 이유와도 같았다.

 

 

 

 

 

그런 의미에서 초반에 펼쳐진 대선시즌 패러디는 SNL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었다. 대선후보들의 특징을 그대로 흉내 내 재미와 풍자를 동시에 잡은 SNL은 기존의 단순히 흉내 내기에 그친 정치인 성대모사를 조금 더 명확한 캐릭터와 실제 상황에 빗댄 풍자로 공감대를 증폭 시켰던 것이다. 대놓고 정치인들을 희화하 시킬 수 있는 배짱은 SNL의 색다른 묘미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SNL에서 화제가 되는 것은 더 이상 풍자나 해학이 아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철퇴에 따라 SNL의 19금 꼬리표는 15세로 낮추어졌고 정치권 풍자는 사라진지 오래다. 섹시와 풍자가 SNL의 트레이드 마크나 마찬가지임에도 현재 SNL은 섹시도, 풍자도 없다.

 

 

 

 

이 두가지 요소가 사라진 SNL에 남은 것은 바로 ‘패러디’다. 정치권 패러디는 이제 길이 막힌 탓에 SNL은 드라마나 연예계의 패러디를 주무기로 삼는다. 최근 화제가 된 패러디도 클라라, 이태임 등이 일으킨 사건에 있었다.

 

 

 

 

그러나 이런 패러디는 통쾌하지 않다. 풍자나 패러디는 엄청난 권력을 지니고 있거나 평소에 망가지기 힘든 인물일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 그들에게 톡쏘는 한마디를 던지는 것이 성역처럼 여겨질 경우, 개그라는 소재를 통해 버젓이 방송으로 그들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 대한 희열이 배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배우는 성역이 아니다. 그들은 이미 인터넷에서 죽도록 뭇매를 맞았고 그들에 대한 공식 기사들도 수없이 쏟아졌다. 그들은 이미 짓밟힐대로 짓밟혔고 더 이상 그 일에 대하여 어떤 행동도 취할 수 없을 만큼 약해졌다. 그들이 잘못을 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없이 그들은 이미 방송 출연을 쉽게 이어가지 못하는 등의 불이익을 받고 있다. 패러디나 조롱에도 상관없이 뻣뻣하게 고개를 들고 나오는 권력자들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미 약해진 상대를 또 짓밟는 것은 큰 재미를 선사하지 못한다.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도 한 두 번 뿐이다. 이런 패턴이 지속되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다. 최근 화제가 된 SNL의 <압구정 백야> 패러디 <압구정역 백야>역시 드라마 자체 패러디가 통했다기 보다는 그 뒤에 숨은 임성한작가라는 권력자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런 연예계에 패러디를 통해 이런 공감대를 형성할 만한 인물은 그다지 많다고 볼 수 없다.

 

 

 

 

SNL은 스스로 ‘성역’을 지키면서 그 공감대를 잃어버리고 있다. 물론 이는 SNL만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방송에 지나친 압력을 가하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이기도 하다. 그 이유야어쨌든 입을 다물고 꽁꽁 몸을 싸맨 SNL이 한국에서 계속 방영될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인가 하는 문제는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문제가 아닐 수 없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

 

 

<전설의 마녀>가 종영했다. <전설의 마녀>는 ‘교도소 출신’이라는 공통점으로 맺어진 인연을 중심으로, 그들의 복수와 사랑을 다룬 드라마로 30%가 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한지혜는 이 드라마의 여주인공인 문수인 역으로 분해 극을 이끌어가야 하는 중차대한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전설의 마녀>가 방영되는 내내 시청 포인트는 ‘문수인’이라는 캐릭터에 있지 않았다. 오히려 문수인은 답답하고 전형적인 여주인공에서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못한 캐릭터로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이 드라마의 가장 강력한 키를 쥔 인물로, 극중 ‘신화제과’에 복수의 칼날을 들이댈 거라 기대가 되었던 이 캐릭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치게 수동적이었다는 점이다. 착하고 예쁘기만한 캐릭터의 시대는 지났다. <왔다! 장보리>에서 주인공을 대신하여 연민정을 연기한 이유리가 주목 받은 것처럼 차라리 자신의 의사 표현이 확실하고 개성 넘치는 캐릭터에 이목이 집중되는 시대다.

 

 

 

문수인은 처음부터 끝까지 제 손으로 일을 해결하지 못했다. 여주인공 답게 지나치게 운이 좋았던 그는 사랑도 일도 모두 성공을 거머쥐었지만 온전히 자신의 힘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도움과 우연의 산물로 이루어진 성공이었다. 복수 역시 그런 패턴을 벗어나지 못했다. 주인공은 빵만 열심히 만들었고 복수는 차앵란(전인화 분) 마도현(고주원 분)등, 다른 캐릭터들이 알아서 해주었다. 특히 마도현은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복수만 도와주고 죽음으로서 다소 인위적인 등장과 퇴장을 했다.

 

 

 

이 과정에서 한지혜의 캐릭터는 점차 희미해져 갔다. 오히려 서브 출연자인 김영옥(김수미 분)에게 시선은 집중되었다. 메인 줄기보다는 코미디가 이 드라마의 시청률을 견인한 가장 큰 부분이었다는 점은 아쉽지 않을 수 없다. 오히려 메인 커플인 문수인과 남우석(하석진 분)의 러브스토리는 지루하고 평면적으로 흘러갔다.

 

 

 

후반부로 갈수록 이 커플에 대한 집중도는 더욱 떨어졌다. 마도현이 깨어나면서 삼각관계가 되었지만, 이 삼각관계는 오히려 이 커플의 순수성을 훼손시키는 역할을 하고야 말았다. 아무 잘못도 없는 남편이었던 마도현이 깨어나 보니 다른 남자의 여자가 되어있는 문수인을 마주해야 했고, 남우석을 택하는 문수인의 행동은 일면 배신같아 보이기까지 했다. 결국 문수인-남우석 커플은 지지도가 현격하게 떨어졌다.

 

 

 

가장 아쉬운 것은 이런 평면적인 캐릭터를 연기한 한지혜의 연기력이다. 한지혜는 그동안 보여주었던 착하고 씩씩한 아가씨 캐릭터를 벗어 나지 못한 것은 물론, 연기에 있어서도 특별한 장점을 찾아내지 못했다. 오히려 한지혜는 이 역할로 인해 연기력이 다시 논란의 도마위에 올랐다. 다소 답답하고 무거운 톤과 표정은 다양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데 실패 했고 교도소에 가거나 빵집을 차려도 망가지지 않는 한지혜의 미모는 오히려 독이 되었다.

 

 

 

한지혜는 주인공이지만 오히려 손해 보는 역할로 <전설의 마녀>를 마무리 지었다. 결국 흥행력과 연기력 어느 한 쪽도 한지혜는 증명해 낼 수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김수미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했고 종영까지도 김수미의 존재감을 찬양하는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다.

 

 

 

주인공이 주인공 답지 못할 때, 드라마가 짊어져야 하는 짐은 크다. <전설의 마녀>역시 39회 동안 이야기를 제대로 주워 담지 못했고 결국은 마지막회의 급한 마무리와 전개로 종영을 했다. 그것은 시청 포인트를 잘못 가져간 탓이다. 김수미의 인기가 올라가니 김수미의 분량이 대폭 확장되었다. 상대적으로 주인공들의 이야기는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조연의 인기가 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는 물론 꽤 잦은 일이지만 그것은 메인 이야기가 재미있다는 전제 하에 조연의 매력을 발견한 경우에 가장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메인의 이야기가 어그러진 채, 조연에 모든 것을 의지한 <전설의 마녀>에 높은 점수를 주기는 힘든 이유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