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L의 오프닝에서는 “SNL은 1975년 미국 NBC에서 시작해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중동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는 40년 전통의 세계적인 코미디 버라이어티 쇼”라며 “오직 SNL에서만 볼 수 있는 최고 스타의 코미디, 패러디, 풍자로 시청자 여러분의 즐거운 토요일 밤을 책임지겠다”는 설명이 등장한다.
이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 코미디 프로그램으로서의 명성을 일찍부터 이어온 SNL은 풍자와 해학으로 명성이 높은 코미디 프로그램이었다. 최근 미국 SNL에서는 IS를 패러디한 개그로 논란의 도마위에 올랐다. 공항까지 딸을 배웅하러 나온 아버지는 딸을 태우러 온 IS트럭을 발견한다. “딸을 잘 돌봐달라”는 아버지의 말에 IS는 “미국에 죽음을”이라는 말을 남긴다.
이 패러디는 미국에서도 “지나친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그런 장면이 논란이 되건 안 되건 알 수 있는 한가지는 미국 SNL에는 그만큼 금기가 없다는 점이다. 어떤 이야기를 하든지 일단은 논란을 생각하지 않고 코미디의 금기영역을 최대한 확장했다는 것만은 큰 의미가 있다.
물론 한국에서라면 수위는 미국보다 높을 수 없다. 국민 정서와 감정을 건드리는 일이 미국에 비해 훨씬 더 민감하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어느 정도 수위를 조절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현재 SNL Korea는 SNL에 기대하는 수위를 지나칠 정도로 다운그레이드 시켰다.
SNL이 의미가 있었던 것은 단순한 코미디를 뛰어넘어 각종 사회문와 정치에 대한 비판과 풍자로 시청자들의 내밀한 욕구를 어루만져 주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한국 코미디가 몸개그나 외모지적등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SNL은 성역을 깬다는 점에서 한국 코미디가 갖지 못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그동안에는 다소 소극적으로 이루어지던 풍자가 19금이라는 마크와 함께 보다 노골적이고 적나라한 표현도 용인될 수 있었다는 점은 SNL의 존재 이유와도 같았다.
그런 의미에서 초반에 펼쳐진 대선시즌 패러디는 SNL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었다. 대선후보들의 특징을 그대로 흉내 내 재미와 풍자를 동시에 잡은 SNL은 기존의 단순히 흉내 내기에 그친 정치인 성대모사를 조금 더 명확한 캐릭터와 실제 상황에 빗댄 풍자로 공감대를 증폭 시켰던 것이다. 대놓고 정치인들을 희화하 시킬 수 있는 배짱은 SNL의 색다른 묘미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 SNL에서 화제가 되는 것은 더 이상 풍자나 해학이 아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철퇴에 따라 SNL의 19금 꼬리표는 15세로 낮추어졌고 정치권 풍자는 사라진지 오래다. 섹시와 풍자가 SNL의 트레이드 마크나 마찬가지임에도 현재 SNL은 섹시도, 풍자도 없다.
이 두가지 요소가 사라진 SNL에 남은 것은 바로 ‘패러디’다. 정치권 패러디는 이제 길이 막힌 탓에 SNL은 드라마나 연예계의 패러디를 주무기로 삼는다. 최근 화제가 된 패러디도 클라라, 이태임 등이 일으킨 사건에 있었다.
그러나 이런 패러디는 통쾌하지 않다. 풍자나 패러디는 엄청난 권력을 지니고 있거나 평소에 망가지기 힘든 인물일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 그들에게 톡쏘는 한마디를 던지는 것이 성역처럼 여겨질 경우, 개그라는 소재를 통해 버젓이 방송으로 그들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에 대한 희열이 배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배우는 성역이 아니다. 그들은 이미 인터넷에서 죽도록 뭇매를 맞았고 그들에 대한 공식 기사들도 수없이 쏟아졌다. 그들은 이미 짓밟힐대로 짓밟혔고 더 이상 그 일에 대하여 어떤 행동도 취할 수 없을 만큼 약해졌다. 그들이 잘못을 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없이 그들은 이미 방송 출연을 쉽게 이어가지 못하는 등의 불이익을 받고 있다. 패러디나 조롱에도 상관없이 뻣뻣하게 고개를 들고 나오는 권력자들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미 약해진 상대를 또 짓밟는 것은 큰 재미를 선사하지 못한다.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도 한 두 번 뿐이다. 이런 패턴이 지속되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다. 최근 화제가 된 SNL의 <압구정 백야> 패러디 <압구정역 백야>역시 드라마 자체 패러디가 통했다기 보다는 그 뒤에 숨은 임성한작가라는 권력자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런 연예계에 패러디를 통해 이런 공감대를 형성할 만한 인물은 그다지 많다고 볼 수 없다.
SNL은 스스로 ‘성역’을 지키면서 그 공감대를 잃어버리고 있다. 물론 이는 SNL만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방송에 지나친 압력을 가하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이기도 하다. 그 이유야어쨌든 입을 다물고 꽁꽁 몸을 싸맨 SNL이 한국에서 계속 방영될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인가 하는 문제는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문제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