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프로듀사>는 무려 <별에서 온 그대(이하<별그대>)>로 한류 스타의 반열에 올라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김수현의 차기작이자 <별그대>는 물론, <내조의 여왕>, <넝쿨째 굴러들어온 당신>을 집필한 박지은 작가의 신작이다.

 

 

 

방영 전부터 다수의 톱스타가 이 드라마에 출연을 원했다는 기사가 나올 정도로 이 드라마에 쏟아지는 관심은 컸다. 캐스팅 라인업이 공개되자 차태현 공효진까지 합류한 드라마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상승했다.

 

 

그러나 유독 시청자들의 호감을 얻지 못한 캐스팅이 있다. 그것은 바로 가수 아이유의 캐스팅이다. 아이유는 그동안 <드림하이>로 연기 신고식을 치른 후, <최고다 이순신>, <예쁜 남자>에 연이어 주연을 맡으며 연기자로서의 커리어를 쌓았다. 그러나 <프로듀사> 출연진 중 유독 아이유에 대한 논란은 거세다. 그 이유는 단순히 그가 ‘가수’이기 때문은 아니다.

 

 

 

아이돌 출신의 연기자 진출은 이제 활발한 정도를 넘어서 당연한 수순처럼 되어버렸다. 그 중에서 엠블랙 출신의 이준이나 제국의 아이들 출신의 임시완은 연기자로서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그들이 연기자로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첫째로는 연기력이 바탕이 되었지만 똑똑한 선택으로 자신의 커리어를 쌓았기 때문이었다.

 

 

 

이준은 <배우는 배우다>에서 현역 아이돌이 하기 힘든 노출 연기를 소화한 것은 물론, <갑동이>에서 사이코 패스, <풍문으로 들었소>의 소심 남등 의외의 캐릭터를 도맡으며 연기적 커리어를 쌓았다. 임시완 역시 <해를 품은 달>로 연기 신고식을 치른 뒤, <변호인>을 거쳐 <미생>의 주인공으로 끊임없는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어 냈다.

 

 

이 둘의 커리어를 살펴보면 엠블랙이나 제국의 아이돌로 얻은 인기를 역이용하기 보다는 연기력과 작품성으로 승부를 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처음부터 주연자리를 욕심내거나 무조건 화제성 위주의 작품에 출연하기 보다는 아역이나 단역, 혹은 저예산 영화라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연기 스펙트럼 안에서 움직였다. 그 결과, 연기자로서 그들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아이유의 경우는 솔로 여가수로서 얻은 독보적인 인기를 드라마 출연의 매개체로 사용한 케이스다. 아이유의 드라마 주연 발탁의 시점은 ‘좋은 날’이후 ‘국민 여동생’쯤으로 불릴 만큼 큰 인기를 얻은 후였다. 인기를 바탕으로 드라마 주연을 꿰차는 경우는 다수 있어 왔지만 문제는 아이유가 인기를 얻은 방식에 있었다. 아이유는 뛰어난 외형적 조건보다는 ‘동생’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며 성공을 얻은 후, 음악적인 고민한 흔적이 엿보이는 앨범을 통해 대중의 호응을 얻었다.

 

 

 

아이유의 성공 포인트는 ‘여동생’이라는 이미지에 기반했지만 아이유의 그럴듯한 노래실력이나 음악적 성찰이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그러나 가수로서 얻은 인기를 이용하여 드라마 주연을 거머쥐는 모습은 결코 긍정적일 수 없었다. 아이유는 가수로서는 성공했지만 드라마의 주연을 맡기에는 지나치게 이미지가 고정적이었고 흥행력 또한 담보할 수 없었다. 가수와 연기자의 영역은 별개의 영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아이유는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했다. <최고다 이순신>과 <예쁜 남자>모두 대중의 호응을 받지 못한 채 끝이 났다. 아이유의 역량을 증명하기에는 드라마는 지나치게 평이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이었다. ‘평범한’ 여자와 ‘잘생긴’ 남자의 러브 스토리라는 기본 틀을 깨지 못한 스토리라인에서 아이유는 두드러지지 못했다. 주연으로서의 역량 역시 의문점을 남겼다. 아이유가 진정으로 연기에 뜻이 있었다면 연기자로서 대중을 설득시킬만한 역할을 맡아야 했다. 그러나 너무 빨리 주연이 된 아이유에게 그런 기회는 찾아오지 않았다.

 

 

 

<프로듀사>에 출연을 결정지은 아이유에게 우려 섞인 시선이 쏟아지는 것 또한 아이유의 연기자로서 현재 위치를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아이유는 이제껏 가수의 이미지를 활용한 역할 이외의 작품에 출연한 예가 없다. 더군다나 <프로듀사>에서 아이유가 맡을 것으로 알려진 역할은 콧대 높은 톱스타 역이다. 그런 역할은 아이유의 기존 이미지에서 지나치게 궤도를 벗어나있다. 대중이 그런 아이유를 받아들일 만큼 아이유의 연기나 외모적인 장점이 드라마 속에서 발현될 수 있을까 하는 점은 분명 생각해 보아야 할 지점이다.

 

 

 

 

 

<프로듀사>는 톱스타 캐스팅과 스타작가의 조합으로 성공할 확률이 아주 높은 드라마다. 그러나 만에 하나 실패할 경우 그만큼 이 드라마에 쏟아질 화살 역시 감당해야 한다. 성공 확률이 높은 만큼 위험 부담도 크다. 톱배우들의 틈바구니에서 아이유라는 개인이 얼마나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 시킬 수 있을 것인가. 그 결과는 드라마가 시작하기 전까지는 알 수 없지만 드라마의 우려를 뛰어넘는 아이유의 존재감이 절실한 시점이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