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달샘의 막말 논란은 예상보다 큰 파장을 몰고 왔다. 장동민의 여성 비하를 지탄하는 목소리로 시작된 논란은 장동민이 <무한도전>의 식스맨 후보가 된 상황에서 후보로서의 자격이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 결국 장동민은 “폐를 끼치고 싶지 않다”며 프로그램을 사퇴했다.
장동민의 발언을 옹호하기는 힘들다. 인터넷 방송임을 감안하더라도 입에 담기 힘든 욕설과 여성비하적인 발언, 그리고 최근 터진 상품백화점 피해자에 대한 논란까지 장동민이라는 사람 자체의 인성을 의심케 하는 수준의 발언은 많은 대중을 불편하게 만드는 일이었다.
장동민은 이에 수차례 사과를 한 것은 물론, 고소인에게 사과 편지를 전하고 기자회견을 열어 고개까지 숙였다. 실로 발빠른 대처이고 적절한 대처였다. 대중의 비난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도 있었고 자신의 잘못을 겸허히 수용한다는 의미도 있었다.
그러자 논란은 다시 사과의 ‘진정성’문제로 흘렀다. 장동민이 한 사과가 과연 진정으로 반성의 뜻이 있느냐 없느냐로 시작해 논란은 더욱 거세게 흘러갔다. 그리고 <한밤의 TV 연예>는 고소인측과의 인터뷰를 통해 “3시간을 기다려 손편지를 전달했다던 장동민이 30초 밖에 기다리지 않았다”는 방송을 내보내면서 논란의 불씨를 만들었다.
다시 논란은 장동민의 거짓말 논란으로 흘렀다. 그러나 3시간을 기다렸냐, 30초를 기다렸냐는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이 아니었다. 장동민은 이에 대하여 “변호사 사무실 건물 밖에서 기다렸다”며 논란을 반박했다. 이에 여론은 다시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혔다. 오히려 과열된 취재 양상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 모든 것이 코미디에 가까웠다. 물론 장동민이 인터넷 방송이든, 공중파든 말 실수를 한 것에 대한 비난은 있을 수 있었다. 그러나 논란의 불씨가 엉뚱한데로 튀었다는 것에 대한 반성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처음에는 ‘여성비하 발언’이 문제였다가 나중에는 ‘상품백화점 생존자’에 대한 막말, 또 ‘사과의 진정성’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종국에는 ‘거짓말’로 장동민에게 쏟아진 비난의 수위는 강도를 더해갔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해 보면, 장동민을 향한 비난이 감정적인 비난으로 흘러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동민의 인터넷 방송 발언은 물론 그의 기본적인 인성을 의심케 하는 수준의 저열한 것이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지만 그를 비난하는 사람들의 패턴 역시 잘못된 그 사안 자체에 대한 품격있는 비난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그저 언론과 여론의 분위기에 따라 휘둘리고 조정당하는 비난을 위한 비난으로 흐르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
장동민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다. 수차례 사과를 했고, 고개를 숙였다. 하차가 결정된다면 받아들이겠다는 말도 했다. 그러나 다수의 방송사측은 “함께 갈 것”이라고 말하며 하차가 없음을 밝히거나 “추이를 지켜보겠다”며 하차를 확정짓지 않았다. 이는 그의 사과로 일단은 이 일에 대한 소강상태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의 사과의 진정성 문제는 지금 판단할 일도 아니다. 그가 앞으로 보여주는 모습과 행동 속에서 판단할 일인 것이다. 그의 발언에 대한 옹호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성숙하지 못한 대중의 여론몰이나 비난의 수위 역시 장동민의 막말만큼이나 위험하다. 잘못한 연예인에 대한 비난은 충분히 있을 수 있지만 그 비난이 수위를 넘어 무조건적인 증오가 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연예인들은 말 한마디, 해동 하나에도 대중의 돌팔매를 당할 수 있는 존재다. 그러나 그 돌을 던질 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있다. 이 비난에 발전적인 방향이 있느냐, 아니면 단순히 한 사람을 매장 시키고 싶은 감정 싸움이냐 하는 것이다.
장동민은 사과를 했지만 그를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는 개인의 선택이다. 그러나 비난을 위한 비난에 매몰되어 장동민을 바닥까지 끌어내리고자 하는 대중의 심리는 건강하다고 할 수 없다. 장동민을 향한 비난이 피곤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