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 저 맘에 안들죠?’라는 한 마디는 올해를 통틀어 가장 유행한 문장이 되었다. 이태임과 예원의 촬영장 갈등에서 비롯된 사건은 사실 알려지지 않았다면 조용히 끝날 일이었지만 한 기자에 의해 기사화가 되고 이후 사건을 찍은 미방분 테이프가 유출되면서 초미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애초에 이태임의 욕설이 부각되었던 사건은 예원의 다소 예의 없는 표정과 말투, 결정적으로 ‘언니 저 맘에 안들죠?’라는 한 마디로 인해 전세가 역전되었다. 그 전에는 무조건적인 피해자로서 자신을 포장하던 예원측의 입장이 한 번에 뒤집어지는 순간이었고 이는 대중의 관심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했다. 솔직하지 못했던 예원에 대한 대중의 실망감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태임에게 모든 면죄부를 줄 수는 없는 일이었다. 이태임 역시 먼저 흥분해 욕설을 퍼부은 책임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태임은 이 사건의 피해자처럼 묘사되기 시작했다. 이태임 역시 ‘그동안 힘들었지만 이제는 괜찮다’ ‘지금은 웃으면서 이야기 할 수 있다’는 식으로 마치 자신이 피해를 입었다는 뉘앙스로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그래서 SNL에 이태임이 등장한다고 했을 때, 이태임이 어떻게 그 사건을 해석할지는 궁금한 부분이 아닐 수 없었다. 만약 예원을 가해자로 놓고 자신이 피해자로 나타나는 상황이라면 오히려 그의 SNL은 독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이미 이태임과 예원의 사건은 여러 형태로 패러디가 되고 웃음거리로 쓰인 후였다. 심지어 SNL에서 조차 패러디한 이 사건을 다시 무대위로 불러낸다는 것은 식상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이태임은 “내가 더 잘못했다. 아직도 피해를 입고 있을 예원씨에게 미안하다.”며 자신을 낮추고 들어갔다. 이어진 꽁트 역시 예원보다는 이태임 자신에게 맞춰져 있었다. 군에 입대하기 위한 인성검사에서 떨어진다거나, 할머니 분장을 한 정이랑에게 “얻다 대고 반말이냐, 왜 눈을 그따위로 뜨냐.”는 비난을 듣는 식이었다. 이태임의 SNL은 ‘언니, 저 맘에 안 들죠?’에 포인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태임이 했던 욕설과 행동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수많은 패러디가 있었던 상황이지만 이태임 자신이 스스로 패러디를 주도했다는 것도 신선했지만, 남의 잘못이 아닌 자신이 저지른 실수를 확실히 인지한 패러디는 대중이 훨씬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개그로 승화되었다. 이런 개그는 대중이 그 사건에 대해 불편하고 심각한 감정을 가지고 있을 때는 불가하다. 상황상 그 사건의 시간이 많이 지났고 이태임은 그 사건에 대하여 이전에도 수차례 사과를 했으며, 예원의 거짓말로 이태임 역시 피해를 입은 사실이 있기 때문에 이런 개그는 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런 개그가 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이태임이 이 개그를 통해 자신의 억울함을 증명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신이 낮아지면서 자신의 잘못을 대중에게 한 번 더 유쾌한 방법으로 사과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이태임의 SNL출연은 플러스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는 있다. 중요한 것은 그 잘못을 저지른 후 그 잘못을 어떻게 수습하는가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고 적절한 사과가 필수다. 그리고 억울한 부분이 있을지라도 자신이 낮아질 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태임은 이런 기반 위에서 적절한 사과의 한 방을 날린 셈이다. 그가 한 것은 회피나 변명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솔직한 행동이었다. 그리고 그 솔직함은 대중이 그를 다시 받아들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결국 변명이 아닌 사과를 제대로 한 이태임의 결정은 옳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