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결혼했어요(이하 <우결>)>류의 프로그램은 이미 시청자들의 관심을 얻기에는 지나치게 식상한 형식이다. <우결>을 시초로 한 ‘가상연애’ 프로그램은 꾸준하게 거의 비슷한 형태로 반복되어 왔고 그결과 이야기에는 한계가 생겼다 . <우결>조차 2008년 처음 제작된 후 지금까지 방영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시청자들은 이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 보다는 염증을 느낀다. 가상연애라는 설정은 처음에는 신선하게 다가오지만 결국 프로그램을 위한 비즈니스일 뿐이다. 비즈니스가 끝나면 출연진들은 언제 둘 사이에 무엇이 있었냐는 듯, 각자의 자리로 너무도 태연히 돌아간다. 서로 연락을 주고받는다는 출연진도 극히 드물다. 그들이 만들어내는 가상현실로 판타지가 시작되지만 동시에 그 가상현실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느껴지는 허망함도 배가된다.
그들의 감정을 진실로 포장하지만 실로 무엇보다 가식적인 둘의 관계는 시청자들을 기만하는 행위로 받아들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커플들이 일정 정도 이상의 실제 연인같은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그들의 캐릭터를 찾을 때, 시청자들의 관심은 다시 쏠린다. 가상임을 알면서도 믿고싶은 이율배반적인 심리를 자극하는 것이다. <우결>이 계속 제작될 수 있는 이유다. 그러나 그들에게 관심을 쏟는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 그들은 결국 더이상의 발전된 관계로 나아갈 수 없는 숙명적 한계가 있다. 그들의 연인같은 달콤함을 오래 즐기기에는 그 맛은 너무나도 인위적이고 부담스럽다.
이런 상황속에서 <님과 함께2-최고의 사랑(이하<님과 함께>)에 김숙과 윤정수가 등장했다. 그러나 이들에게 쏟아지는 반응은 기존 <우결>류 프로그램 안의 커플들에게 쏟아지던 관심과는 차별화 된다. 기존 커플에게 쏟아지는 관심은 그들의 실제 연인같은 케미스트리에서 기인했다. 그러나 김숙과 윤정수 커플은 그들이 만들어내는 상황과 개그, 그리고 독특한 설정에서 관심이 촉발된다. 그들은 식상해진 ‘커플 예능’을 비웃기라도 하듯, 트렌디하고 새로운 커플로 입소문을 타고 있는 것이다.
김숙과 윤정수의 방식은 기존과는 전혀 다르다. 그들은 애초에 자신들이 ‘비지니스 커플’임을 공언한다. 서로가 이상형도 아니며 끌리지도 않는다는 말을 대놓고 하고 서로 사랑에 빠지거나 필요 이상의 스킨십을 할 경우,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조항을 넣는다. 그 조항에 화색을 보이는 것은 파산신청을 한 전력이 있는 윤정수다. 윤정수는 ‘나 돈 없어.’ 라는 말을 대놓고 김숙에게 하며 자신의 처지를 개그로 만든다. 이보다 더 솔직할 수는 없다.
김숙은 더 하다. 김숙은 실질적으로 이 커플의 방향을 조정하고 있는 인물이다. “어디 남자가 돈을 내냐.”며 허세 가득한 남자들이나 할 말을 하거나 살림은 남자에게 떠맡기려는 모습은 묘하게 풍자적이다. 오히려 깔끔한 윤정수에 비해 늘어놓길 좋아하는 김숙은 이야기를 진행시키는데 있어서 특유의 개그감을 선보이며 에피소드를 만들어내는 캐릭터다.
대놓고 쇼윈도 부부를 자처한 그들은 그들이 만남이 프로그램 때문이며 더 이상 발전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애써 부인하려 하지 않음으로써 시청자들의 뒤통수를 때린다. ‘이 모든 것이 설정이다’를 애써 감추고 부정하려 하는 <우결>류의 얄미운 가식은 이들 커플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그런 솔직함은 도저히 커플 예능에서 상상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통했다. <님과 함께>가 기다려지는 프로그램이 될줄이야 누가 상상이나 했으랴. 그들은 인터뷰에서조차 “상대를 알았다면 출연 안 했을 것”이라는 말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 자칫 위험 발언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비지니스 커플’의 이야기를 개그로 승화시킨 것은 그들의 능력이라고 밖에 표현할 수 없다.
<님과 함께>의 현재 시청률은 2%대지만 공중파에서 방영되고 있는 <우결>이 3~4%의 시청률을 올리는 것을 생각해 보면 그리 낮은 시청률이라 할 수 없다. 더군다나 <님과 함께>의 윤정수-김숙 커플이 <님과 함께>의 화제성은 물론, 트렌디한 이미지까지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은 괄목할만하다. ‘가상’이지만 ‘진심’이라는 이미지는 연인을 연기하다 프로그램이 끝나면 돌아서는 꽃미남 꽃미녀들이 아니라 김숙과 윤정수처럼 만드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