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02'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9.02 <함틋>과 <달의 연인>의 추락...사전제작 드라마의 배신

함부로 애틋하게>와 <달의 연인-보보경심려>(이하 <달의 연인>) 은 모두 사전제작 드라마다. 사전제작 혹은 반사전제작 드라마가 속속들이 등장하는 것은 분명 반가운 일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드라마 제작 환경은 커진 몸집에 비해 지나치게 열악했다. 배우들과 작가, 연출자들은 물론 스텝들까지 밤을 지새우다시피 드라마를 찍어야했고 아슬아슬하게 방송시간에 맞추는 생방송에 가까운 촬영이 이어졌다. 당연히 퀄리티도 낮아질 수밖에 없었다. 배우들은 컨디션 관리가 힘들었고 방송사고도 종종 일어났다. 스토리도 미리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쪽대본은 난무했다. 시청자 반응에 따라 스토리가 바뀌는 경우도 다반사였고 툭하면 축소나 연장이 되는 등, 시청자와의 약속도 저버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사전제작 드라마의 출현은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처럼 보인 것이 사실이다. 완성도를 높이고 드라마의 전반적인 제작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긍정적인 현상같았다. 확실히 사전제작 드라마가 많아진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이런 현상은 단순히 한국 드라마 제작 환경에 대한 자정 노력 때문만은 아니다. 중국 시장이 커진 만큼 사전 심의를 받아야 하는 중국시장을 다분히 의식한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다. <함부로 애틋하게>와 <달의 연인> 모두 그런 분위기에서 사전제작이 이루어진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목적을 가지고 제작됐다고 해도 사전제작에 공을 들여 드라마의 질 자체가 높아질 수 있다면 박수를 칠만 하다.

 

 

 



그러나 뚜껑을 열어보니 두 드라마 모두 사전제작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드라마 스토리 라인과 연기력 연출까지 전반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함부로 애틋하게>는 한마디로 이야기하자면 애틋함을 강요하는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그 애틋함을 위해 주인공들을 비롯한 등장인물 대부분이 비통하고 비참한 상황에 놓여있다. 드라마는 무거워지고 이야기는 어두워진다. 그 분위기를 살려 특유의 느낌을 만들어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이야기는 늘어지고 시청자들은 지친다. 결국 동시간대 꼴지를 차지한 <함부로 애틋하게>는 수지와 김우빈을 주연으로 쓰고도 실패라는 꼬리표를 달게 되었다.

 

 

 

 


 
<달의 연인> 역시 이와 크게 다르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이준기와 강하늘등 연기파 배우로 인정받은 연기자들은 명불허전의 연기를 보여주고 있지만 문제는 그 외의 요소다.  특히 드라마의 전반에 등장하는 아이유는 여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있다. 퓨전사극이고 현대의 영혼이 과거에 빙의한다는 설정이기는 하지만 아이유가 극 자체에서 어색해 보이는 것은 크나큰 문제다. 아직 사극의 분위기에 녹아들기에는 아이유의 내공이 현격히 부족해 보이는 것이다. 여기에 드라마에 처음 도전하는 인기그룹 엑소 출신의 백현은 소위 '발연기'의 전형을 보여주며 희화화까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나머지 조연들 역시 그다지 눈에 띄는 연기를 보여주지 못하며 드라마는 결국 이준기와 강하늘, 두 사람이 끌고 가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방영 전 아이유를 연기 천재라 부르며 이 드라마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던 pd의 발언이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가수의 이미지를 벗을 만큼의 연기력과 완성도를 애초에 구축하지 못한 아이유 본인의 책임도 있지만 시간이 충분히 주어졌음에도 그런 구멍들을 캐치해내지 못한 연출자의 책임역시 간과할 수 없다.

 

 

 


 
사전제작 드라마에 기대되는 것은 높은 퀄리티다. 반 사전제작으로 제작된 <시그널>처럼 연출과 연기 스토리의 삼박자가 완벽한 작품은 사전제작의 모범사례라 할만하다. 그러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태양의 후예>도 나중에는 다소 황당한 스토리라인과 ppl 논란으로 몸살을 앓았다. 초반에는 좋은 반응을 얻었던 <치즈 인 더 트랩>도 마찬가지다. 결국에는 내용이 이해하기 힘든 방향으로 흐르며 원작 팬들과 시청자들의 분노를 일으켰다.

 

 

 



사전제작은 반드시 정착되어야 할 시스템인 것만큼은 확실하다. 그러나 사전제작에서 기대되는 완성도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면 사전제작의 의미가 없다. 스토리를 다듬고 연기자들의 연기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진 후 그 연기를 살릴 수 있는 연출력이 더해진 사전제작 시스템이라면 쌍수를 들고 환영 할 만 하다. 그러나 사전제작에서 기대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작품은 결국 생방송처럼 급박하게 제작되는 드라마들과 차이점을 찾기 힘들다. 사전제작 드라마의 퀄리티를 기대한 시청자들에게도 다소 실망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전제작 드라마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싶다면 그만큼 사전제작 시스템이 필요한 설득력을 갖춰야 한다. 사전제작 드라마들의 장점이 보이지 않는 상황 속에서 과연 사전제작 시스템은 중국 시장을 겨냥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착될 수 있을까. 제작진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