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6'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6.09.16 7년째 논란 <아육대>, ‘욕하면서 보는’ 막장 드라마

<아이돌 육상 선수권 대회>(이하 <아육대>)는 모든 아이돌들이 총출동하여 스포츠 종목에서 우열을 가르는 프로그램이다. 평소 무대위의 모습 이외에 다른 매력을 보고 싶은 팬들에게 있어서는 선물같은 프로그램일 수 있을 법도 하지만, 매년 <아육대>는 논란을 키우며 팬들의 비난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일단 출연자들의 부상 문제가 끊임없이 불거지는 것이 팬들의 심기를 상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스포츠 경기를 메인으로 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매년 크고 작은 부상이 생긴다. 문제는 제대로 된 규격을 지킨 제대로 된 경기장소와 바로 응급처치가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의료진과 의료 시설의 구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는 점이다. 올 해에도 직접 관람을 한 팬들에 따르면 남성 60m달리기에서 신호총이 수차례 불발되는 사타가 있었으나 그 내용이 편집된 채, 마치 몇 몇 아이돌들이 부정출발을 하는 것처럼 묘사가 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한 이번에도 작은 부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방송화면에 그런 상황들은 모두 편집이 되었다.

 

 

 

 


 
부상 문제는 7년여 설이나 추석 특집으로 <아육대>가 방영될 때마다 끊이지 않고 터져 나오는 문제였다. 바로 지난 설 특집 <아육대>에서만 해도 엑소의 멤버 시우민이 다리 부상을 당하는 사태가 있었다. 그 밖에도 심하게는 깁스를 해야 하는 정도까지 다치는 등, 스포츠 경기에 따르는 부상자가 끊임없이 생겨났다. 물론 어떤 상황에서든지 예기치 않은 부상은 있을 수 있지만 팬들 입장에서는 본업도 아닌, 체육대회에서 자신의 가수들이 다치는 모습을 보는 것이 결코 반가울 리 없다.

 

 

 

 



'갑질 논란'은 역시 끊이지 않고 흘러나오는 논란 중 하나다. 많은 아이돌을 섭외하며 박한 출연료를 준 것이 문제가 되었다. 그룹당 30~50만원 선이 지급되는 것으로 알려져 멤버 수대로 나눈다면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촬영되는 <아육대>의 특성상, 최저 시급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마저도 이동비나 스타일리스트 출장비 등을 제외하면 거의 남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육대>에 출연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출연하지 않을 경우 mbc의 음악 방송에도 출연 제제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육대>의 제작진과 <쇼! 음악중심>의 제작진이 동일한 까닭에 아이돌 입장에서는 자칫 불이익을 당할까 쉽사리 빠지기도 힘들다. 결국 <아육대>는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아이돌들이 참가 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그램이 계속 명맥을 이어갈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 바로 '보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프로그램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어도 아이돌의 팬들은 채널을 고정한다. 다양한 아이돌들의 다양한 팬층이 프로그램을 보는 탓에 시청률도 만족스럽다. 올 해 설에 방송된 <아육대>는 9%가 넘는 시청률로 동시간대 1위를 차지했으며 이번 추석 방영된 <아육대> 역시 2부 시청률이 8.9%까지 치솟았다. 동시간대 1위를 차지한 <정글의 법칙-48시간 with 김상중>의 시청률과 비교해도 0.3포인트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신설된 리듬체조 종목에 출연한 여성 아이돌들의 유연성도 화제가 되고 팬들의 응원이 이어진다. 물론 잠시잠깐 그때뿐인 관심이기는 하지만 팬들은 열심히 준비하고 노력한 아이돌들의 땀방울을 외면하기 힘들다. 결국 <아육대>가 7년의 명맥을 유지하는 데는 팬들의 지대한 관심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관중석은 아이돌들의 팬들로 꽉꽉 채워진다. 설령 적은 팬들이 관람을 할 경우, 자신이 응원하는 아이돌이 기죽을까 두려운 팬들의 심리는 이 프로그램을 비난하면서도 결코 외면하지는 못하게 만든다. 여전히 <아육대>는 방송국 입장에서는 효자 콘텐츠인 것이다.

 

 

 

 



그뿐이 아니다. <아육대>는 고민이 그다지 많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아니다. 형식은 올림픽을 그대로 따왔으며 중계자들을 섭외하는 것도 그다지 큰 노력이 필요치 않다. 아이돌들만 열심히 뛰어준다면 체육 경기 형식을 그대로 빌려온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을 담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각각의 팬층은 시청률을 끌어 올릴 만큼의 파급력이 없더라도 모든 아이돌들의 팬 층이 결합하면 그 파급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 지점을 <아육대>는 놓치지 않고 활용하고 있다.

 

 

 

 



결국 누구보다 이 프로그램의 폐지를 원하는 팬들이 이 프로그램을 살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아이러니는 부인할 수 없다. '욕하면서도 본다'는 막장드라마처럼, <아육대>가 여전히 명절의 효자 역할을 하고 있는 한, 이 프로그램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다만, 팬들의 요구처럼 아이돌들이 좀 더 확실하게 안전을 담보 받으며, 정당한 대가를 받고 좀 더 나아진 환경에서 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하는 노력만큼은 시급해 보인다.
Posted by 한밤의연예가섹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