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전>의 김구라는 전지현의 비슷한 이미지가 대중에게 피로감을 불러온다는 말로 화제를 모았다. 김구라가 그런 말을 할 수 있는 근거는 전지현이 <엽기적인 그녀>이후, 엽기녀의 이미지를 통해 그녀의 가치를 다시금 증명했기 때문이다. 그것도 한 번이 아니었다. <엽기적인 그녀> 이후 반복된 실패를 천 만 관객이 든 영화 <도둑들>로 만회할 당시 전지현은 발랄하고 엉뚱하지만 사랑스러운 '예니콜'역할을 맡았다. 늘씬한 몸매가 드러나는 의상은 덤이었다. 전지현이 <도둑들>에서 한 '어마어마한 XX같아.'같은 대사는 전지현의 엉뚱한 매력으로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가 되었다.
이 후 <별에서 온 그대>역시 전지현의 '엽기녀' 이미지의 연장선상에 있다. 발랄하고 엉뚱하며 때때로 허당인 사랑스러운 톱스타 천송이 역할은 전지현이 아니면 감히 생각할 수 조차 없을 정도로 전지현의 이미지에 정확히 들어맞는 역할이다.
그러나 김구라의 '피로감'이라는 단어는 조금 과한 측면이 있다. 물론 전지현은 <엽기적인 그녀>이후, 반복된 실패로 거품 논란에 시달린 적이 있다. 전지현은 <엽기적인 그녀> 이후, 광고 위주의 활동을 전개하며 톱스타로서 흥행력이나 작품성, 혹은 연기력을 보여준 적이 없었다.
그녀가 변신을 했던 <4인용 식탁>이나 <슈퍼맨이었던 사나이><데이지>등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엽기적인 그녀>의 이미지를 재탕한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마저 신통치 않은 성적을 내며 전지현의 위기론까지 등장했다. 그리고 돌파구는 <도둑들>의 또다른 엽기녀였고 드라마 복귀 역시 전지현의 기존 이미지를 재탕했으니 전지현의 반복된 이미지가 지겨울 법도 하다.
그러나 <도둑들>에서 전지현은 수많은 스타들 사이에서도 돋보일 수 있는 매력을 갖추고 있었다. 사실 그동안 전지현의 연기력은 성장했지만 아직도 뛰어나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 영화 <베를린>은 성공했지만 진지한 전지현의 북한사투리는 어색한 측면이 있었다. <베를린>속 전지현은 엽기녀를 맡을 때 만큼 돋보이지 못했다. '전지현'이라는 브랜드를 극대화 시킨것은 예전에도 지금도 언제나 '엽기녀'였다.
그러나 전지현은 그 '엽기녀' 만큼은 누구도 따라 올 수 없을 만큼 독보적이다. 늘씬한 몸매와 예쁜 얼굴로 망가지면서도 사랑스러움을 잃지 않는 캐릭터를 표현하는 것은 전지현만의 전매 특허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엽기적인 그녀>이후 전지현을 벤치마킹한 스타들이 쏟아졌지만 전지현과 비슷한 캐릭터를 연기한 그 누구도 전지현 만큼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엽기적인 그녀>이후 거품 논란은 있었을 지언정 전지현의 전성기는 그 영화 한 편으로 꽤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그럴 수 있었던 이유는 전지현의 이미지가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고유의 영역이었기 때문이었다.
<별에서 온 그대>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김수현이 아니라 전지현이다. 연기력으로 따지자면 김수현 쪽이 더 안정적이지만 '엽기녀'를 맡은 전지현 쪽에 더 눈길이 간다. 실제로 시청자 게시판이나 댓글에는 전지현의 연기를 칭찬하는 목소리가 압도적으로 높다. 그만큼 전지현은 자신만의 매력을 마음껏 펼쳐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런 매력이 적절한 작품을 만났을 때, 전지현의 가치는 폭발한다. 그것이 비록 동어반복의 이미지일지라도 전지현은 대중에게 그 독보적인 매력으로 어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매력이 계속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이번 드라마의 성공 역시 그동안 영화에서만 보여줬던 전지현의 매력이 드라마라는 다른 매체를 통해 발현되었고 상당히 강약조절이 잘 된 스토리 구조 속에서 드러났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지현의 엽기녀'만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결코 반가운 일은 아니다. 그것이야 말로 전지현의 이미지 소모를 불러 일으키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별에서 온 그대>처럼 재미있는 스토리 안에서 보여주는 전지현의 매력은 전지현이 독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를 극대화 한다. 좋은 작품 속에서는 전지현은 언제나 엽기녀 일 수 있는 것이다. 대중이 피로함을 느끼는 것은 <내 여자 친구를 소개합니다>처럼 오로지 전지현의, 전지현을 위한, 전지현에 의한 작품이 나왔을 때다. 그러나 전지현은 이제 자신의 엽기녀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잘 알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 전지현은 연기력 보다는 이미지로 승부하는 배우다. 자신의 이미지를 제대로 파악하고 그것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배우는 오히려 호감형으로 전환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전지현의 엽기녀는 피로함을 불러일으키기 보다는 똑똑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앞으로도 전지현의 '엽기녀'가 계속되는 것은 전지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은 없다. 앞으로 전지현은 다른 매력으로도 자신을 어필 할 필요성이 분명히 있다. 전지현이 다른 매력을 보여주려 할 때 마다 그 도전은 성공으로 끝난적이 거의 없다. 그러나 지금 전지현의 엽기녀는 아주 현명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대중은 아직까지는 전지현의 엽기녀에 환호성을 내지른다. 그런 대중들을 '엽기녀'이외의 다른 무기로 사로잡느냐 하는 것은 전지현의 또 다른 숙제이긴 하지만 말이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