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G의 기획력은 어느 기획사들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실력파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가장 트렌디한 음악을 선보이는 기획사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가수를 내놓을 때마다 화제를 모으며 인기몰이에 성공한다. 데뷔 전부터 언론을 적절히 이용하고 기대감을 증폭시키는데에 있어서 YG만큼의 수완을 발휘하는 기획사도 없다. YG에서 새롭게 선보인 걸그룹인 블랙핑크가 데뷔하자마자 음원차트를 휩쓸고 역대 걸그룹 데뷔후 최단기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 또한 이런 YG의 기획력에 있다.
그러나 팬들의 불만은 어쩐 일인지 더욱 쌓여만 가고 있다. 블랙핑크를 향한 불만이 아니라 YG의 수장인 양현석을 향한 불만이 주를 이룬다. 문제는 블랙핑크의 활동반경에 있었다. 블랙핑크의 처음 데뷔 설이 흘러 나온 것도 거의 3년 전 부터다. 그들의 데뷔가 정해지느냐 마느냐가 그정도 걸린 것에 대하여 양현석은 “완성도 때문”이라는 해명을 내놓았다. 그러나 데뷔도 하지 않은 걸그룹이 나올 것이냐 말 것이냐를 두고 한참동안이나 저울질을 한 YG의 태도는 팬들 입장에서는 간보기에 불과했다.
더군다나 데뷔 후 방송활동을 활발히 해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켜 줘야 할 신인 그룹의 스케줄은 인기가요 단 하나. 데뷔 첫 주 방송임에도 다른 방송에는 아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팬들 입장에서는 황당한 일일 수밖에 없다.
YG 소속가수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바로 이 지점이다. 신인임에도 마치 10년 차 빅뱅이나 가능할 것 같은 활동 전략으로 오히려 활동반경을 좁힌다. 예를들자면 더블 타이틀 곡 같은 경우, 빅뱅처럼 인지도가 있는 그룹은 두 곡다 히트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지만 위너나 아이콘의 경우, 대표곡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다. 신인으로서 자신의 그룹을 좀더 대중적으로 만들고 인기를 올리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함에도 YG는 더블 타이틀 뿐 아니라 가수들에게 짧은 활동기간과 긴 휴식기를 주는 등의 전략을 고수한다.
이런 상황에서 팬들의 불만이 표면적이고 공식적으로 드러난 것 사건이 있다. 아이콘의 일본 아레나 투어 게스토로 위너의 송민호가 서게되면서 아이콘 팬덤측이 “아이콘 멤버들의 제대로 된 단독, 유닛 무대도 없는 상황에서 타 가수와 유닛 무대를 추가하는 것은 부적절한 일입니다. 아이콘 멤버들만의 추가 무대를 원합니다”라는 공식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 말 속에는 아이콘에 대한 지원이나 활동에 불만이 서려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알 수 있다. 그들 가수들의 활동 반경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타 그룹의 멤버를 게스트로 세우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이에 위너의 팬덤 역시 “위너 송민호의 아이콘 콘서트 게스트 참여 전면철회를 YG에 강력히 요구합니다”라며 성명을 발표했다. 올해 초 앨범이 나온 후 별다른 활동이 없는 위너에 대한 소속사측의 스케줄 전략에 불만이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
그보다 먼저 터진 젝스키스 ‘합창단 이벤트 사건’도 있다. 응모에서 뽐힌 팬들만 합창에 참여 시킨다는 이벤트였지만 팬측은 합창은 특정인의 특권이 아닌, 팬들의 영역이라며 해당 이벤트를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고 결국 이벤트가 취소되는 상황으로 치달았다. 팬들이 싫다는 이벤트를 굳이 강행하고 나서는 YG의 행동은 섣불리 이해하기 힘들다. 이는 현재 YG를 만든 팬들과의 소통의 부재가 일을 키웠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는 YG 소속 가장 대형 가수인 빅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작년부터 나올 것이라던 빅뱅의 ‘made' 정규 앨범은 올해 하반기로 넘어가는 시점에서까지 발매되지 않고 있다. 빅뱅의 멤버인 탑은 올 해 30살로 더 이상 군 입대를 미루지 못하는 상황. 앨범이 이토록 늦어지면 활동 기간도 숙명적으로 짧아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지난 8월 19일은 빅뱅의 10주년이었다. YG는 'who's next'라는 카피를 게재하여 다음 활동 가수에 대한 기대를 키웠지만, 다음 가수는 빅뱅이 아닌 미국진출한 씨엘인 것으로 밝혀졌다. 빅뱅의 정규앨범은 무려 8년째 감감무소식이다. 팬들의 허무함이 얼마나 클지 예상 가능한 지점이다. 그런 상황에서 YG측의 전략에 불만이 터져나오는 것 또한 무리는 아니다.
양현석의 ‘보석상자’라는 말도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보석상자처럼 양현석 혼자 보고 즐긴다는 뜻의 비아냥이다. 이밖에도 악동뮤지션이나 이하이등, 소속가수들의 활용방식에 있어서 YG소속사를 향한 팬들의 불만은 상상이상다. YG 소속인 유병재는 예능 ‘꽃놀이패’ 제작발표회에서 YG가 해당 프로그램에 공동 투자를 한 것을 두고 “나 신경쓰지 말고 가수들 앨범이나 빨리 내달라”고 말해 웃음을 터트리게 만들었다. 유머지만, 그 유머가 통할 수 있었던 것이 바로 팬들의 불만이 일반인들도 알 정도로 크게 불거졌기 때문이었다.
기획사는 누구보다 팬들과 소통할 줄 알아야 한다. 보통 팬들은 기획사에게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기획사는 소속 연예인들을 상품으로 보고,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들을 애정어린 시선으로 지켜보기 때문이다. 팬들은 어쨌든 가수 입장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고, 소속사는 가수를 이용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그런 면에서 YG가 가수들을 활용하는 방식이 논란이 되는 것은 상당히 의외다. 활동을 지나치게 시켜서가 아닌, 활동을 시키지 않기 때문에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가수들의 음악성이나 실력을 보여주는 음악과 무대의 완성도는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완성도를 끌어 올렸다는 블랙핑크처럼, 활동기간에 조차 팬들의 원성을 들을 정도의 신비주의는 지나치다. 팬들과 소통하지 않는 기획사의 태도에 팬들은 서서히 지쳐가고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