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선은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을 통틀어 전무후무한 톱스타로서 기억되는 배우다. ‘최고의 미녀’라는 수식어는 김희선에게 있어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칭찬이었고 그 수식어 하나로 자신의 독보적인 커리어를 만들어 낸 배우라 할 수 있었다.
한 인터뷰에서 농담처럼 던진 “제 2의 김희선은 없다”는 그의 말은 그래서 일정부분 수긍이 간다. 김희선과 같은 ‘아이콘’은 김희선 이후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김희선은 90년대 당시 기성세대와 충돌하는 신세대의 모든 것이었다. 아끼고 절제하는 것이 미덕이었던 과거에 반기를 들고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것을 표현하면서 물질에 대한 과감함도 서슴지 않는 소비지향성은 김희선의 개성으로 자리매김했고, “난 예쁘니까” 라고 말해도 솔직함으로 받아들여지는 김희선만의 당당함은 최고 미녀라는 수식어와 더불어 김희선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만들어 주었다.
'도저히 미워할 수 없는 말괄량이'인 김희선은 그 시절 젊음을 대표하는 것이었다. 김희선은 신세대의 문화를 ‘겉멋만 잔뜩 든’ 사치와 문란의 상징이 아닌, 자기표현과 당당함의 가치로 전환 시킨 스타였다. 기성세대들 역시 김희선의 그런 자존감에 매료되었고 전국구적인 스타로 김희선은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그가 하는 악세사리나 스타일은 거의 항상 화제가 되었고 유행이 되었다. 김희선이라는 이름 하나 만으로도 광고효과는 다른 스타들의 몇 십배에 이를 만큼, 독보적인 존재감을 발현한 것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예쁜 꽃도 언젠가는 지기 마련이었다. 이른바 ‘누드집 사건’이후, 사진작가 조세현과 논쟁을 벌인 김희선은 수많은 스캔들에도 무사태평했던 과거와는 다르게 휴식기를 가졌고, 복귀후 선택한 드라마들이 이전과 같은 파급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점점 ‘김희선 열기’는 식어가기 시작했다.
더 큰 문제는 김희선의 연기력 논란이었다. 김희선에게는 의례히 ‘최고의 스타’라는 수식어 뒤에 ‘연기력 논란’이 따라 붙었다. 부정확한 발음과 어색한 표현력은 그가 최고의 스타였던 시절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그의 가장 강력한 무기였던 흥행력이 사라진 후에는 상당히 두드러져 보였다. 언제까지고 ‘미워할 수 없는 말괄량이’ 일수는 없었던 김희선의 최초의 위기였다.
김희선의 등장만으로 빛이 났던 ‘김희선 시대’가 끝나고도 김희선은 여전히 주인공이었다. 그러나 독보적인 김희선은 이제 없었다. 그 자리에 독보적인 김희선 같은 존재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김희선의 존재감이 약화되며 다른 스타들이 충분히 김희선의 존재감을 대체 할 수 있을 만큼 시간은 흘렀던 것이다. 김희선은 그 사이 결혼을 하고 아이까지 낳았다. 더 이상 김희선에게 기대되는 것은 ‘젊음’을 대표하는 자신감일 수 없었다.
이에 김희선이 선택한 것은 ‘미모’를 포기하는 것이었다. 여전히 아름답지만 예전과 같은 반짝이는 젊음을 대표하지 못하게 된 김희선의 노선은 조금 더 성숙해진 연기력과 촌스러운 역할을 자처하는 것이었다. KBS주말극 <참 좋은 시절>의 김희선은 사투리를 내뱉으며 억척스러운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나 드라마의 성적은 김희선에 등장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럽지 못했다. 김희선의 사투리 연기에도 논란은 따라 붙었다. 이제 김희선에게 기대되는 것은 나이가 들어도 여전히 아름다운 미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김희선은 당당하던 모습 그대로, 논란을 뒤로 하고 차기작으로 <앵그리 맘>을 선택했다. <앵그리 맘>은 김희선이 과거에 감히 시도하지도 않았던 ‘사회 문제’를 정면으로 그리고 있다. 학교폭력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고 학교의 비리까지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드라마에 김희선은 무려 ‘엄마’로 등장한다. 17살의 엄마라는 설정은 아직까지 젊고 예쁜 김희선에게 어울리는 옷처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김희선은 드라마 전반을 뛰어다니며 딸 때문에 힘들어 하는 모성과 액션까지 소화해 냈다. 다소 과장된 면도 있지만 드라마 속에서 김희선은 충분히 17살 난 딸을 걱정하는 ‘엄마’로서의 존재감을 피력한다. ‘친딸이 아니다’라는 대사가 등장하며 출생의 비밀이 있음을 짐작케 했지만 17년 동안 딸을 키운 엄마로서의 감정 만큼은 김희선의 것으로 만들었다. 그가 학교로 돌아가 일진의 머리를 책상에 찧는 장면이 통쾌할 수 있는 이유는 김희선이 표현하는 감정선에 그만큼의 공감이 이입되기 때문이다. 철저히 김희선의 입장에서 그려지는 ‘엄마’역시 공감이 갈만큼 세월은 흘렀고, 김희선은 달라졌다.
김희선은 이제 충분히 엄마를 선택할 만큼 유해졌고, 또 그만큼 성숙해졌다. 비록 화려했던 김희선의 시대는 이제 없지만 그 세월이 지나는 동안 실제로 한 아이의 엄마가 되고, 또 다른 변신을 두려워 하지 않는 배우 김희선이 있기에 학교 폭력에 맞서는 엄마의 모습은 통쾌하고 <앵그리 맘>의 다음회는 더욱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