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결혼했어요>(<우결>)은 2008년 처음 방송을 시작할 당시 폭발적인 관심을 얻은 콘텐츠였다. 그 전에도 <천생연분>같은 연예인 매칭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결혼 생활을 시작한다는 콘셉트는 신선한 분위기로 연결될 수 있었다. 그리고 2016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우결>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러나 분위기는 사뭇 달라졌다. '신선함'에 박수를 치던 시청자들이 이제는 '식상함'에 반기를 들고 나선 것이다. 대본 논란은 언제나 끊이지 않고 시청률도 떨어졌다. 그러나 <우결>은 여전히 방송사에서는 포기할 수 없는 콘텐츠다. 해외의 호응도 그렇지만, 안 본다 안 본다 하면서도 국내에서도 꾸준히 스타가 탄생한다. 신인들이 홍보할 수 있는 기회로 이 정도의 콘텐츠도 드물다. 매력만 제대로 보이면, 주목을 받을 여지가 아직 남아있다. '연애 시뮬레이션' 형 예능은 아직도 포기할 수 없는 콘텐츠인 것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은 끊임없이 제작되어 왔다. <우결>류의 콘텐츠인 <님과 함께>는 '최고의 사랑'이라는 부제를 달고 현재 방영중이다. 김숙은 이 프로그램으로 '계약 커플'이라는 신개념 커플을 연출하며 데뷔후 가장 큰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자, 이제 처음 같은 관심을 찾아보기 힘들다. "시청률 7%가 넘으면 결혼하겠다"는 신선한 공약은 결국 관심의 저하로 자연스럽게 지키지 못하게 됐다. 7%가 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결혼할 리는 거의 없지만.
이밖에도 <더 로맨틱&아이돌> <남남북녀>등, 연예인 짝짓기 프로그램은 꾸준히 생겨났다 없어졌다. tvN이 새롭게 선보인 <연극이 끝나고 난 뒤> (이하 <연극이>) 역시 이런 맥락의 프로그램이다. 심지어 이 프로그램의 출연자인 유라는 <우결>에, 이민혁은 <로맨틱&아이돌>에 출연한 전력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카메라가 꺼진 후'라는 콘셉트를 가져 왔으면서도 여전히 카메라가 돌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이후 이어지는 인터뷰 역시 마찬가지다. 연예인들이 카메라가 돌아가는 상황에서 얼마나 자신의 민낯을 내보일 수 있을까. 솔직하려거든 차라리 '우리는 계약커플'이라고 외친 김숙 윤정수가 훨씬 더 솔직했다. '촬영'하기 위해 만난 연예인들이 카메라가 꺼진 후 라는 콘셉트에도 여전히 돌고 있는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을 리 없다. 그들이 보이는 감정이나 만들어낸 상황들도 어느 정도는 그들의 의도대로 흐를 수는 있겠지만 기본적인 틀에 얽매인 채 진행되는 것임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하석진은 '영화보자'는 윤소희의 제안을 '기사가 난다'며 거절한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살기 위해서는 실제로 기사가 나는 편이 좋다. 그들의 연애가 가상이 아닌 실제라는 판타지를 심어 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십중팔구 그들은 '진짜 연극이 끝난' 일상생활에서 개인적인 연락조차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단순히 작품을 위해 만났고, 예능을 살리기 위해 연기한 후 집으로 돌아가 또 다른 설정이었던 예능 상황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드라마'와 '현실'이라는 구조로 리얼리티를 강조하려 했지만 결국 두 개의 페이크만 생겨났을 뿐이다.
카메라가 돌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인이든 연예인이든 출연자들의 진정성을 확보하는 일은 쉽지 않다. 현실에서도 연애는 카메라 속에서 펼쳐지는 판타지가 아니다. 서로 신뢰관계를 쌓고, 서로를 이해하며 함께 걸어가는 과정이 연애다. 연애의 본질이 아닌 수박 겉핥기식으로 다뤄질 수밖에 없는 연애 매칭 프로그램은 이미 시청자들의 호감도를 획득하기 쉽지 않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