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보검이 <구르미 그린 달빛>(이하 <구르미>)의 주인공 이영세자역을 맡아 호응을 받고 있다. 다소 능글맞으면서도 천진난만한 남자 주인공으로 분해 특유의 비주얼과 연기력으로 여심사냥을 하고 있는 중인 것이다.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구르미>는 남장 여자라는 다소 진부한 소재를 사용했지만 코믹한 느낌을 잘 살리며 관심을 늘려가고 있다. 아직 동시간대 최하위지만 1위를 차지했던 드라마 <닥터스>가 종영하면서 본격적으로 드라마의 성패가 갈릴 전망이다.
박보검처럼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 주인공들의 차기작들을 살펴보면 로맨틱 코미디(로코) 장르가 대세를 이룬다. 혜리가 선택한 <딴따라>는 로맨틱 코미디로 명확히 규정하기는 힘들지만, 혜리는 여주인공으로서 삼각관계를 형성하며 러브라인의 중심에 있었다. 혜리는 남자 주인공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는 사랑스럽고 밝은 로맨틱 코미디 여주인공의 전형적인 캐릭터를 그대로 보여주었다.
류준열은 <운빨 로맨스>를 선택해 로코를 수차례 성공시킨 황정음과 호흡을 맞췄다. 류준열은 사회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천재적인 머리를 가진 기업 CEO 역할을 맡아서 로코 남주로서의 역량을 십분 발휘했다. 비록 시청률은 낮았지만 류준열은 드라마 남자 주인공으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해냈다. 이후에도 송강호, 최민식, 조인성, 정우성 등 톱 배우들과의 영화촬영이 줄줄이 예정되어 있는 것만 봐도 류준열은 자신의 개성과 매력을 증명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고경표 역시 차기작은 로코였다. <질투의 화신>을 선택하며 서브 남자 주인공으로서 재벌 2세 역할을 맡았다. 여자주인공을 두고 남자주인공과 삼각관계를 형성하는 역할은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기 좋은 역할이다. 능력이 뛰어난 것은 물론 남자주인공의 성격과 대비되는 다정함은 드라마가 성공할 경우, 배우의 이미지 메이킹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설정이다. 공효진과 조정석이 선택하여 화제를 모은 작품 속에서 고경표가 얼마나 빛날 수 있을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이처럼 <응팔>의 주인공들의 차기작은 주로 ‘로코’의 영향력 아래 있다. 그만큼 로코의 매력은 확실하다. 드라마가 성공할 경우 주인공들의 스타성이 빛날 수 있고 이미지도 좋아진다. 일단 남녀 주인공의 사랑이야기라는 기본 전제를 배반할 수 없는 로코는, 주인공들을 이성에게 어필하는 캐릭터로 만들 수밖에 없는 숙명을 지녔다. 그들은 시청자들을 설레게 해야 하는 목적을 가지고 탄생한 캐릭터들이기 때문이다.
‘응답하라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들은 차기작에서 응답하라 시리즈가 보여준 파급력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으로 실망감을 안겨준 선례가 많다. 확실히 <응팔> 출연진들이 차기작으로 선택한 작품만 보더라도 <응팔>의 성공에 비교하면 다소 초라하다고 느껴질만하다. 더군다나 응답하라의 배경이 사라진 그 순간 배우들은 진정한 주인공으로서의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
<응팔>이 스타를 배출하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스타성이 유지되는 것은 차기작의 성공에 기반한다. 그런 까닭에 ‘응답하라의 저주’라는 단어가 생길 정도다. ‘응답하라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들의 차기작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나오는 말이다. 이를 두고 박보검은 “<응팔>은 저주가 아니라 축복”이라며 “다른 배우들도 차기작에서 자신만의 또 다른 매력을 보여주었다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말은 물론 맞는 이야기지만 확실히 차기작에서 존재감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그 이후의 행보에 제동이 걸리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제껏 '응답하라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들이 응답하라 이후의 행보에서 상당히 존재감을 잃어버리는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로코 장르는 드라마의 시청률이 다소 낮아도 배역을 충실히 소화해 내면 이미지에 타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르다. 연기 역시 다른 장르에 비해서 부담감이 적다. 캐릭터 자체가 이전에 수없이 반복되었던 캐릭터의 변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캐릭터 분석이나 새로운 연기톤에 대한 고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응답하라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들은 대부분 신인에 가깝기 때문에 차기작에서 연기력 논란이 일어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로코라는 장르에도 물론 연기력은 필요하지만, 다소 익숙한 장르라는 것이 그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차기작을 통해 연기력과 존재감을 어느정도 증명한 케이스도 있지만 아직 <응팔>이후 확실한 성공을 거머쥔 스타는 없다. 과연 앞으로 박보검이나 고경표가 징크스를 깨고 드라마의 성공을 이끌어가는 주인공으로서 각인될 수 있을 것인가. 그들이 <구르미>와 <질투의 화신>을 통해 확실한 주인공으로서의 역량을 십분 발휘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